컨텐츠 바로가기

관세 폭탄에 '5대 금융' 금리우대 등 26조 규모 금융지원(종합)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대 은행 참고 사진/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대 금융그룹이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와 내수부진으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게 약 26조원 규모의 금융지원에 나선다.

KB금융그룹은 7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총 8조원 규모의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영업점 전결 금리우대 프로그램' 규모를 기존 1조5000억원에서 3조원으로 늘리고 국가 주력전략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 등을 위한 '한시 특별 금리우대 프로그램'도 3조원에서 5조원으로 확대한다.

또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 총 230억원을 특별출연해 8400억원 규모의 보증서를 공급함으로써 제조업체·수출업체 등에 대한 금융 지원을 강화한다. 담보력과 신용도가 취약한 혁신성장기업·수출기업 등은 3년간 보증비율 100% 우대 협약보증서를 발급받거나 최대 1.5%포인트(P) 이내의 보증료를 지원받을 수 있다. 또 자동차 관련 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신용보증기금과 업무협약을 맺고 총 1500억원 규모의 저금리 동반성장 상생 대출을 신속히 공급한다.

신한금융그룹은 이날 국내 수출기업 등 중소기업·소상공인에 10조50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중소기업·소상공인의 금융부담 완화를 위해 기업 금리 우대 프로그램으로 6조4000억원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3조원 규모의 특별 금리 인하 Hi-pass(하이-패스) 쿠폰을 지급해 국내 산업을 돕는다.

소상공인이 신규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신용보증재단과 특별출연을 통해 5000억원을 지원한다. 신용보증기금과도 특별출연을 통해 수출기업 등 중소기업에 6000억원 규모의 신규 대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은 "미국의 상호관세 도입에 따른 금융 애로를 겪을 수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선제적인 금융지원을 통해 금융시장의 안정성 도모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금융그룹도 관세 충격이 큰 수출입기업을 최우선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구체적인 금융지원 규모는 상호관세 충격이 큰 업종·기업의 상황을 파악하고 수립키로 했다. 우리금융은 또 해외법인과 지점 등 그룹의 글로벌 부문에 미치는 영향과 리스크관리 점검에도 나섰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현 시점부터 즉각 비상경영태세로 전환하고 금융당국의 정책 기조와 대응 방향에 적극 협력하겠다"라며 "현장에서 직접 파악한 기업고객들의 구체적인 애로사항과 니즈를 기초로 실효성 있는 지원방안을 수립해달라"고 당부했다.

하나금융그룹은 중소기업·소상공인을 위해 총 6조3000억원 규모의 긴급 금융지원을 가장 먼저 발표했다. 하나은행은 중소기업·소상공인의 긴급 유동성 지원을 위해 총 6조원 규모 자금을 공급한다. 기존 운영 중인 '주거래 우대 장기대출'을 3조원 증액한다. 이어 3조원 규모로 '금리우대 대출'을 신규로 추가 지원해 빠른 심사를 바탕으로 신속하게 자금을 공급할 계획이다.

앞서 NH농협은행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전국 17개 신용보증재단과 특별출연 등을 통해 약 1조30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달에는 기술보증기금과 1929 억원, 신용보증기금과 200억원 추가 지원에 나서는 등 총 1조50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에 나선다.

이창명 기자 charming@mt.co.kr 황예림 기자 yellowyerim@mt.co.kr 이병권 기자 bk223@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