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내무부 산하 인공지능(AI) 연구소 HTX가 난양이공대학, 클라스엔지니어링솔루션과 공동 개발한 ‘사이보그 바퀴벌레’ 10마리를 지난달 30일 미얀마 지진 구조 현장에 파견했다. [싱가포르 HTX]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김보영 기자] 미얀마 지진 현장에 ‘사이보그 바퀴벌레’ 10마리가 파견된 사실이 알려져 주목받고 있다.
5일(현지시간) 싱가포르 매체 스트레이츠타임스는 싱가포르 내무부 산하 인공지능(AI) 연구소 HTX가 난양이공대학, 클라스엔지니어링솔루션과 공동 개발한 ‘사이보그 바퀴벌레’ 10마리를 지난달 30일 미얀마 지진 구조 현장에 파견했다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사이보그 바퀴벌레가 인도주의적 작전에 투입된 것은 전 세계 최초이며, 곤충 하이브리드 로봇이 현장에 배치된 것도 처음이다. 싱가포르는 앞서 실종자 수색·구조를 위해 싱가포르민방부대(SCDF) 병력 80명과 수색견 4마리를 파견한 바 있다.
싱가포르 내무부 산하 인공지능(AI) 연구소 HTX가 난양이공대학, 클라스엔지니어링솔루션과 공동 개발한 ‘사이보그 바퀴벌레’ 10마리를 지난달 30일 미얀마 지진 구조 현장에 파견했다. [싱가포르 HTX]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바퀴벌레는 작은 몸집을 이용해 잔해 아래 좁은 공간도 수색할 수 있는 만큼, 부착된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실종자의 흔적을 찾는 역할을 맡는다. 지난달 31일 붕괴된 병원 현장에 처음 투입됐으며, 지난 3일에는 수도 네피도 수색 현장에도 두 차례 투입된 것으로 전해졌다.
아직 생존자를 찾지는 못했으나 사이보그 바퀴벌레가 수집한 정보로 구조 팀 인력 배치에 도움을 주는 등 수색 작전을 수행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