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현실적 대안 거론되지만
수년 걸리고 지속 가능 불투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베트남은 국내 제조기업들, 특히 가전회사들의 핵심 생산 거점이다. 이번에 미국 정부가 베트남산 제품에 최대 46%의 관세를 부과하며 삼성·LG전자를 비롯한 세트 업체와 부품사들까지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국가에서 생산하면 된다는 단순한 해법도 제기되지만, 생산 거점 선택지가 줄었다는 것 자체가 기업들에는 제약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미·중 갈등을 피해 중국 밖을 나서려 하지만, 마땅한 출구도 없다는 게 문제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의 TV·모니터 등은 멕시코, 베트남, 브라질, 헝가리 등에서 생산된다. 스마트폰은 베트남과 인도, 브라질 등에서 제조 중이다. LG전자는 미국, 태국, 중국에서 주요 가전을 생산하고 있으며, TV 등 디스플레이 제품은 멕시코, 폴란드, 인도네시아, 중국에서 만든다. 자동차 부품은 베트남, 중국, 오스트리아 공장에서 조달한다.
문제는 삼성·LG전자와 함께 베트남 현지에 동반 진출한 수십 개의 국내 부품업체들이다. 이들은 세트업체의 주문을 받아 현지에서 플라스틱 몰딩, 모터, 인버터 등 핵심 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베트남에 대한 46% 관세는 기업들에게는 치명적이다. 관세 부과로 세트업체들이 생산량을 조절하거나 생산거점을 이전하게 될 경우 이들 협력업체 역시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당장 다른 국가의 생산 비중을 확대하는 등의 전략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점쳐진다.
LG전자의 베트남 '하이퐁 캠퍼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업계에서는 완전히 막힌 길은 아니라고 본다. 국가별 관세율이 다르기 때문에 베트남 외에 생산지 비중을 조정해 비용 부담을 분산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공장 부지 확보와 인프라 구축, 숙련 인력 확보 등 생산기지를 옮기는 데는 수년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은 걸림돌이다.
또한 지속 가능성이 불투명하다는 점도 문제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제라도 멕시코에 대한 추가 관세 방침을 밝힐 수 있어 기업들의 전략 수립이 어렵다.
관세 불확실성이 커지자 부품사들도 움직였다. 삼성전기는 기존에 추진하던 멕시코 공장 투자 계획을 일시 보류했으며, LG이노텍은 멕시코뿐 아니라 베트남, 인도네시아, 한국 등으로 생산지를 분산하는 방안을 고객사들과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 기조는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결국 어디에서 생산하든 미국 시장에 진입할 때 높은 관세를 피하기 어려운 구조가 됐다. 최종적으로는 이 피해가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삼성 깃발이 펄럭이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투데이/이수진 기자 (abc123@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