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장관 핵심과제 브리핑
(서울=뉴스1) =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3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제5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위원회 발대식' 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4.3/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남은 임기 내 반드시 성취할 과제로 '범부처 기술사업화 생태계 구축'과 'AI(인공지능) 인프라 확보'를 강조했다.
유 장관은 7일 '2025년도 과기정통부 핵심과제 3월 실적 및 4월 계획' 대국민 보고 브리핑에서 "대통령이 탄핵돼 헌정중단이 된 불행한 일이 발생했다"며 "하지만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정보통신분야 발전은 멈출 수 없고 차질이 생겨서도 안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달 '범부처 기술사업화 비전'을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을 기술사업화 거점으로 육성하고 기술실증 등을 위한 후속 R&D(연구·개발) 및 금융지원 등을 확대한다는 게 골자다. 유 장관은 "기술사업화는 범부처 협동이 아니면 풀 수 없는 문제"라며 "전부처의 자원을 모두 부어야 하며 이를 컨트롤할 수 있는 심장도 확보돼야 한다"고 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달 예정된 주요 정책과제 및 행사를 계획대로 추진할 예정이다. AI분야에서는 지난 2월 발표한 '국가 AI역량 강화방안'의 후속과제를 추진한다. 이달 '글로벌 AI챌린지' 'K클라우드 프로젝트' 등 상세방안을 기획하고 과제를 선정할 예정이다.
한국, 일본, 중국 장관급이 모이는 한일중 ICT 장관회의가 오는 11일 중국에서 열리는 가운데 과기정통부도 참석할 예정이다. 양자, 첨단바이오 등 국가전략기술분야에서는 지난달 출범한 양자전략위원회에 이어 '양자종합계획' 및 '클러스터 기본계획'을 마련하기 위해 전문가로 구성된 수립위원회를 운영한다. 또 반도체, 이차전지 기업 중심의 민관협의체를 발족한다. 차세대 원자로 개발 전주기에 AI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AI+SMR(소형모듈원자로) 이니셔티브'도 추진할 예정이다.
올해 신설되는 '이공계 연구생활 장려금사업'(한국형 스타이펜드) 참여대학도 이달에 확정한다. 신청대학 평가를 마치고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박건희 기자 wissen@mt.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