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애미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로 가기 위해 마이애미 국제 공항에서 전용기를 타고 있다. 2025.04.04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마이애미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한 관세 폭탄의 여파로 금융시장 충격이 확산하고 있음에도 이를 강행할 의지를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약'에 비유했고, 미국의 무역적자가 흑자가 되기 전까진 관세를 거둬들일 생각이 없다고도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간) 오후 상호관세를 발표한 뒤, 3일과 4일 이틀간 뉴욕 증시는 폭락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9.2% 하락했고 S&P 500과 나스닥은 각각 10.5%, 나스닥은 11.4% 폭락했다.
△6일(현지 시각) 대통령 전용기(에어포스원) 내 기자 간담회
- 기자= Is there a pain in the market at some point you're unwilling to tolerate this idea of a Trump put? Is there a threshold? (일명 '트럼프 풋' 이라는 개념처럼, 현재 고통받고 있는 시장이 감내할 수 있는 순간이 올까요? 폭락장의 임계점이 있나요?)
'트럼프 풋(Trump put)'은 트럼프 대통령의 말이나 정책이 주가 하락을 막아줄 것이라는 기대감에서 만들어진 담긴 용어다. 2019년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생겼다. 최근에는 증시 하락을 막아줄 지원책의 의미로도 쓰인다.
이어진 발언에서도 트럼프는 증시 폭락에 대한 대책보다 중국, 유럽연합(EU) 등 주요 무역상대국과의 무역적자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관세가 필요하며, 자신의 관세 정책이 효과를 내고있다는 주장만 반복했다.
(로이터=뉴스1) 최종일 선임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워싱턴으로 돌아가는 에어포스원 전용기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03.30 ⓒ 로이터=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로이터=뉴스1) 최종일 선임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I spoke to a lot of leaders, European, Asian, from all over the world.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 지도자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 그들은 거래하고 싶어 안달이 났다)
▶They're talking to many countries.
They all want to do it, just so you understand the power of what I'm doing.
▶China changed the deal because of tariffs.
If I gave a little cut in tariffs, they'd approve that deal in 15 minutes, which shows you the power of tariffs.
(틱톡 매각을 두고) 사실상 합의 직전이었지만, 중국이 관세 문제로 입장을 바꿨다. 내가 관세를 깎아주면 중국 정부는 15분 안에 승인 낼거다. 이게 바로 관세의 힘이다.
김하늬 기자 honey@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