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국 보복관세로 인한 수출 피해 우려 감안
"행정부 내 의견 갈려"…수입업체 공제 방안도 검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율을 발표하고 있다. ⓒ 로이터=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관세 정책에 따른 자국 내 기업 피해를 완화하기 위해 수출업자에 대한 세액공제 신설을 검토 중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7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정부 내 소식통에 따르면, 현재 행정부 내에서 이 같은 방안을 두고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나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에게 아직 공식 정책 보고가 이뤄지지는 않았다.
세액공제가 도입될 경우 올해 말부터 효력을 발휘하게 될 예정이다. 공제안 신설을 위해서는 의회 동의가 필요하다.
소식통은 "무역국들의 보복 관세로 인한 미국 수출 제조업체들의 피해를 일부 보전하기 위한 조치"라며 "서비스 수출업체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알렸다.
중국은 미국의 상호관세율 발표 뒤 34%의 보복 관세를 발효했으며, 유럽연합(EU)은 철강·알루미늄 보복 관세안을 설계 중이다.
한편 미국 행정부는 국내 수입업자들을 위한 세금 면제안도 검토하고 나섰다. 수입품에 대한 관세는 수입업체가 부담하도록 돼 있다. 다만 소식통은 "수입업자들을 위한 세금 면제안은 설계하기가 더 까다롭다"고 전했다.
alicemunr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