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예섭 기자(ghin2800@pressian.com)]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금은 내란종식이 먼저"라며 '대통령 중임제' 등 의제를 대선 이후에 논의하자는 골자의 '2단계 개헌론' 내지 '최소 개헌론'을 언급한 가운데, 김부겸·김경수·김동연 등 당내 비명계 대권 주자들이 "내란 종식과 개헌 추진은 대치되는 이슈가 아니"라고 지적하는 등 이 대표와 각을 세웠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7일 오후 페이스북에 쓴 글에서 "개헌과 내란 종식은 동전의 앞뒷면이다.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내란 수습을 핑계로 개헌을 방관하는 태도는 안일하다"고 지적했다.
김 전 총리는 "내란을 일으킨 대통령을 파면하는 데 그쳐서는 국민의 절실한 물음에 답할 수 없다"며 "대한민국을 새롭게 출발시킬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번 대선이 기회다. 개헌 로드맵만큼은 분명히 제시할 책무가 있다"고 썼다.
역시 비명계 대권 주자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이날 오후 본인 페이스북에 쓴 글에서 "지금은 내란 종식이 최우선 과제라는 지적에 적극 동의한다"면서도 "내란 종식과 개헌 추진은 대치되는 이슈가 아니다. 개헌은 완전한 내란 종식으로 가는 근본적인 길"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오전 민주당에서 최초로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두관 전 의원 역시 "개헌 대통령이 되겠다", "제7공화국을 위해 '임기를 2년 단축해야 한다'면 기쁘게 받아들이겠다"는 등 권력구조 개편을 포함한 개헌 추진을 대선 1호 과제로 내세웠다.
이에 이번 조기 대선 과정에서 함께 논의될 '1단계 개헌안'의 범위와 내용이 민주당 내 화두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대표는 "(대통령 중임제 등) 이런 것들은 논쟁의 여지가 크다"며 "이런 복잡한 문제들은 각 대선 후보들이 공약으로 국민에 약속을 하고 대선이 끝난 후에 최대한 신속하게 개헌을 그 공약대로 하면 될 것"이라고 했다. 정치권 개헌 의제의 핵심으로 꼽히는 권력구조 개편에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인 셈이다.
다만 김 전 총리 역시 "내란종식이 먼저"라는 주장을 비판하면서도 "터무니없이 집중된 대통령 권한을 나누는 권력구조 개편, 지방분권, 기본권 강화 등은 공약으로 가다듬고 새 정권 출범 후 내년 지방선거에서 국민투표에 회부하면 길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해 이 대표의 단계적 개헌론과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김 전 지사 또한 "다른 개헌 사항은 정권교체 이후 충분한 논의를 거쳐 내년 지방선거 때 2단계로 추진하자"고 이 대표 및 김 전 총리와 유사한 주장을 펼쳤다.
김 전 지사는 이 대표가 국민의힘을 겨냥 "개헌으로 (계엄 사태를) 적당히 넘어가려는 생각을 국민의힘이 하지 않길 바란다"고 비판한 데 대해선 "개헌 논의를 또 다시 정쟁의 수단으로만 삼으려는 내란 세력은 단호히 응징하자"고 동감을 표하기도 했다.
반면 김동연 지사는 "저는 줄곧 '계엄 대못' 개헌, 경제 개헌, 분권형 4년 중임제 등을 말해왔다. 나아가 대선-총선 임기를 일치시키기 위한 대통령 3년 임기단축을 주장해 왔다"며 "분권형 4년 중임제 등 공감대가 큰 사안은 대선과 동시 투표하고, 국민적 동의가 더 필요한 부분은 대선 공약을 통해 단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이들과는 다소 구분되는 주장을 했다.
한편 지난 6일 기자회견을 통해 민주당 내 개헌 논의에 불을 붙인 우 의장은 이날 이 대표의 최고위 발언이 나온 이후 입장문을 내고 "국회 양 교섭단체 당 지도부가 대선 동시 투표 개헌에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환영한다"며 "이번 대선에서부터 개헌이 시작될 수 있도록, 국민투표법 개정부터 서두르자"고 양당 간 개헌 협의를 다시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제위기 상황판을 보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예섭 기자(ghin2800@pressian.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