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를 황제라고도 부르는 트럼프 대통령은 차세대 전투기를 발표하면서도 자기애를 유감없이 드러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6세대. 전 세계 어떤 전투기도 이에 근접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이 전투기는 F-47로 명명될 것입니다. 장군들이 선정한 아름다운 숫자, F-47이죠.]
트럼프는 미국 47대 대통령입니다.
트럼프 생일을 국경일로 정하자는 등 충성경쟁을 일삼는 측근들의 행태도 다시 반복됐습니다.
[피트 헤그세스 / 미국 국방장관 : 대통령님의 리더십 덕분에 미국은 이 6세대 전투기와 함께 한 세대에 걸쳐 항공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차세대 전투기 사업에는 미 공군의 입장과 판단이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
미 공군은 줄곧 중국 견제를 위해 차세대 전투기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었습니다.
F-47이 실전 배치되면 반자율 드론 전투기 등과 편대를 이뤄 운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전투기는 고비용이지만 여전히 드론이 따라올 수 없는 초음속 비행과 대규모 폭격, 공대공 전투가 가능합니다.
특히 미국의 압도적 군사력을 보여주는 상징입니다.
[데이비드 올빈 / 미국 공군 참모총장 : 공중 지배력은 타고난 권리는 아니지만 미국의 공군력을 상징하는 대명사가 되었습니다. 공중 지배력을 항상 유지해야 합니다.]
그동안 이 사업에 대한 회의론도 적지 않았습니다.
머스크도 지난해 12월 주력 전투기 F-35에 대해 어느 것도 뛰어나게 잘하지 못하는 기체라며 공중전의 미래는 드론이라고 비판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 정부에 록히드마틴이 만드는 F-35를 구매 중단하라고 제안했습니다.
록히드마틴은 우주 발사 분야에서 머스크가 운영하는 스페이스X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입니다.
F-47 사업자로는 록히드마틴을 제치고 보잉이 선정됐습니다.
YTN 권영희입니다.
영상편집ㅣ한경희
자막뉴스ㅣ이미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YTN서울타워 50주년 숏폼 공모전!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6세대. 전 세계 어떤 전투기도 이에 근접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이 전투기는 F-47로 명명될 것입니다. 장군들이 선정한 아름다운 숫자, F-47이죠.]
트럼프는 미국 47대 대통령입니다.
트럼프 생일을 국경일로 정하자는 등 충성경쟁을 일삼는 측근들의 행태도 다시 반복됐습니다.
[피트 헤그세스 / 미국 국방장관 : 대통령님의 리더십 덕분에 미국은 이 6세대 전투기와 함께 한 세대에 걸쳐 항공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차세대 전투기 사업에는 미 공군의 입장과 판단이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
F-47이 실전 배치되면 반자율 드론 전투기 등과 편대를 이뤄 운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전투기는 고비용이지만 여전히 드론이 따라올 수 없는 초음속 비행과 대규모 폭격, 공대공 전투가 가능합니다.
특히 미국의 압도적 군사력을 보여주는 상징입니다.
그동안 이 사업에 대한 회의론도 적지 않았습니다.
머스크도 지난해 12월 주력 전투기 F-35에 대해 어느 것도 뛰어나게 잘하지 못하는 기체라며 공중전의 미래는 드론이라고 비판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 정부에 록히드마틴이 만드는 F-35를 구매 중단하라고 제안했습니다.
F-47 사업자로는 록히드마틴을 제치고 보잉이 선정됐습니다.
YTN 권영희입니다.
영상편집ㅣ한경희
자막뉴스ㅣ이미영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YTN서울타워 50주년 숏폼 공모전!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