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트럼프 "관세 유예? 검토 안해"…"많은 나라 '협상하자' 접근"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의 회담 중 발언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오전 한때 금융시장 등에서 확산됐던 ‘상호관세 90일 유예설’을 부인하며 이렇게 말했다. 이날 백악관을 방문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협상을 위해 관세를 일시적으로 유예한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어떻게 된 거냐”는 취재진의 물음에 대한 답변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우리와 협상하러 오는 많은 국가들이 있다”며 “공정한 협상을 할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상당한 관세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상호관세 강행 의지를 거듭 확인했다. 그는 “우리를 이용했던 많은 국가들이 이제 ‘제발 협상을 하자’고 말하고 있다”며 “우리에게는 무역의 판을 다시 짤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상호관세 34%에 대응해 같은 수준(34%)의 보복관세를 10일부터 시행하겠다고 한 중국을 향해선 “8일 12시까지 철폐하지 않으면 50%의 추가 관세를 (9일부터)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이미 두 차례에 걸쳐 중국에 20%의 관세를 부과했고, 지난 2일 각국별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중국에 대해 34%의 관세 추가 부과 방침을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가 재보복 조치로 50%의 관세를 추가하면 총 104%의 관세가 부과되는 셈이다.



“중국 34% 철회 안 하면 50% 추가”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좋은 관계이고 중국을 매우 존경하지만 그들이 (미국에) 이럴 수는 없다”며 “우리는 중국과 대화할 것이다. 많은 다른 나라들과 이야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날 오전 소셜미디어 글에서 드러낸 대중 압박 강도는 한층 높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을 통해 중국이 자신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중국이 요청한 회담 등 모든 대화는 종료가 될 것이라고 했었다.

상호관세 영향 최소화 및 가자지구 종전 등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방미한 네타냐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 앞에서 저자세를 취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께 대미 무역적자를 없애겠다고 말씀드렸다”며 “우리는 그것이 옳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불필요한 다양한 무역 장벽도 제거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스라엘은 (대미) 관세를 신속히 철폐할 것”이라며 “결과가 곧 나올 것”이라고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상호관세 조치를 발표하며 지난해 대미 무역에서 74억 달러(약 10조8500억원)의 흑자를 거둔 이스라엘에는 17%의 관세율을 적용한다고 했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7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회담을 시작하기 전 악수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백악관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미 전역에서 일반 시민, 소상공인, 산업계 리더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정책) 계획을 지지하고 있다”며 여론전을 폈다. 해당 자료에는 “지난주 대통령이 쇠고기를 관세를 낮추고 싶어하는 품목 중 하나라고 말한 것을 듣고 기뻤다”(일리노이주 축산 농부 앨런 아담스), “하나둘씩 문 닫는 공장은 방치하다 버려진 건물이 된다. 트럼프가 뭔가를 하겠다고 하니 기쁘다”(전직 자동차 노동자 브라이언 패너베커) 등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을 지지하는 시민 5명의 발언이 소개됐다.



‘관세 90일 유예’ 가짜뉴스 소동



이날 가짜뉴스 소동이 일었던 ‘상호관세 90일 일시 중단설’은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의 언론 인터뷰 발언 내용이 와전돼 소셜미디어를 타고 순식간에 확산되면서 벌어진 일로 파악됐다. 해셋 위원장은 이날 오전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헤지펀드 억만장자 빌 애크먼이 트럼프 행정부에 요구한 ‘상호관세 90일 유예론’과 관련해 (검토) 의향이 있느냐”는 진행자 질문에 “대통령이 결정할 것은 대통령이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앞서 애크먼은 전날 X(옛 트위터)를 통해 “관세 부과 시점을 90일 뒤로 미루고 (상대국들이) 협상에 나설 기회를 줘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에 대해 원론적으로 답변한 것이었다.

이날 오전 언론이 이를 인용 보도하면서 순식간에 확산했는데,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는 곧바로 언론에 “가짜뉴스”라고 일축했다.

케빈 해셋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이 지난달 19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언론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소동으로 이날 오전 급락세로 개장한 뉴욕 증시는 급반등했다가 다시 급락하는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잘못된 정보에 의한 소동으로 7일 오전 장중 2조4000억 달러(약 3524조원)에 달하는 시가총액이 순식간에 불어났다가 사라졌다”고 전했다.

한편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부과 이후) 우리에게 접근해온 나라가 지금 50~60개, 거의 70개국에 이른다”며 “(이들 국가와 협상하느라) 바쁜 4~5월이 될 것이다. 6월까지도 바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본이 매우 빨리 나섰기 때문에 일본이 우선순위가 될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날 오전 트럼프 대통령과 약 25분간 통화하며 관세 문제를 협의하고 양국 간 장관급 후속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한국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8~9일 미국을 방문해 대미 협상을 이어간다.

워싱턴=김형구 특파원 kim.hyounggu@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