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디지털단지의 한 지식산업센터 1층 사무실에 '임대문의' 현수막이 붙어있다. /채민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8일 나이스신용평가가 한국토지신탁, 한국자산신탁, 하나자산신탁, 교보자산신탁 등 13개 부동산신탁사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부동산신탁사의 지난해 평균 부채비율은 97.4%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56.3%보다 41.1%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신탁사별로 보면 무궁화신탁이 전년 80.9%에서 168.1%로 부채비율이 가장 높았다. 무궁화신탁은 재무건전성 악화로 지난해 금융위원회로부터 경영개선명령을 받았다. 또 한국투자부동산신탁이 전년 47.7%에서 167.6%로 부채비율이 1년 동안 3.5배 높아졌다. 신한자산신탁도 전년 22.6%에서 155.2%로 7배 가까이 부채비율이 뛰었고, 대신자산신탁(48.6%→149%), 대한토지신탁(95.7%→140.4%) 등도 부채비율이 상승했다. KB부동산신탁은 전년보다 부채비율이 낮아졌지만 지난해 말 기준 129.3%의 부채비율을 기록했다. 신용등급이 있는 13곳의 부동산신탁사 중 부채비율이 100%를 넘는 곳은 6곳이다.
책임준공은 건설사가 정해진 기간에 공사를 끝내기로 하고, 이를 지키지 못하면 시행사가 금융권에서 빌린 대출을 모두 떠안는 구조다. 보통 시공사가 책임준공을 하지만 신용도가 낮은 중소‧중견 건설사는 신탁사를 이용해 신용도를 보강한다. 시공사가 대출을 떠안지 못하면 신탁사가 이를 책임져주겠다고 약속하며 공사를 수주한다.
그래픽=정서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부동산신탁사의 차입금의존도도 전년 19.5%에서 34.0%로 2배 가까이 높아졌다. 차입금의존도는 기업의 총자산에 대한 외부에서 조달한 차입금의 비율을 말한다. 또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는 고정이하자산비율도 전년 45.0%에서 55.3%까지 높아졌다. 고정이하자산 비율이 50%를 넘었다는 것은 신탁사가 보유한 자산의 절반 이상은 부실채권이라는 의미다.
김성진 나이스신용평가 금융평가2실장은 “공사비와 사업비 상승, 미분양 확산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지방 중소 건설사들을 중심으로 부도가 많이 발생했고 책임준공 의무를 신탁사들이 부담하면서 신탁사들의 재무건전성이 많이 악화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책임준공 의무를 다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손해배상 소송을 겪고 있는 신탁사들도 많아 신탁사의 재무 상황이 개선되기까지는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해용 기자(jhy@chosunbiz.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