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략부문 총괄사장이 사업 비전과 투자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한화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뉴스웨이 신지훈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지난달 예고한 유상증자 규모를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줄이기로 했다. 유상증자 자금이 총수 일가 경영권 승계 과정에 이용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해소하고 소액주주들의 불만을 달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축소된 1조3000억원은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 등이 지분 100%를 보유한 한화에너지 등 3개 계열사가 담당하기로 했다. 할인 없는 제3자 유상증자를 추진해 소액주주가 이득을 보는 구조를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한화에어로는 8일 이사회를 열고 기존에 발표한 유증 규모를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줄이기로 했다고 정정 공시했다. 신주 발행가는 기존 60만5000원에서 53만9000원으로 15% 할인됐다. 청약예정일은 6월 4일에서 5일로 하루 밀렸다.
앞서 한화에어로는 한화임팩트(5.0%)와 한화에너지(2.3%)가 보유한 한화오션 지분 7.3%를 1조3000억원에 매입했다. 지난해 말 기준 한화에어로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 1조3750억원 중 94%를 사용한 것이다. 이후 일주일 만에 국내 자본시장 역사상 최대 규모인 3조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하겠다고 하면서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한화에어로의 주가는 급락했고, 금융감독원은 한화에어로의 유상증자 증권신고서에 대한 정정을 요구하며 제동을 걸었다. 금감원은 ▲유증을 택한 이유 ▲증자 시점 및 자금 사용 목적의 검토 여부 ▲증자 전·후 한화그룹 계열사의 지배구조 재편과 증자 연관성 등을 상세히 기재할 것을 주문했다. 한화 측은 지난달 상속 논란 종식을 위해 김 회장이 보유 하고 있던 ㈜한화 지분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하기도 했다.
이날 금감원 요구에 따라 공시한 유상증자 축소 결정은 기존 3조6000억원의 자금 확보는 계획대로 진행하되, 주주배정 유상증자 규모를 2조4000억원으로 줄이는 것이 골자다. 이 방식이 실행되면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세 아들이 대주주인 한화에너지는 한화에어로의 1조3000억원 규모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할인 없이 참여하게 된다.
4월 내에 시가로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방안이다. 반면 한화에어로의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소액주주들은 15% 할인 가격으로 주식을 살 수 있다. 한화에너지 대주주가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참여하면 한화에어로 소액주주의 손실은 줄어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시가로 주식 매수에 나서는 점은 주가 상승에도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재규 한화에너지 대표는 "1조3000억원 조달 목적은 승계와 무관한 재무구조 개선 및 투자재원 확보였고, 실제 자금 일부가 차입금 상환과 투자에 쓰였다"며 "불필요한 승계 논란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한화에어로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참여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손재일 한화에어로 대표는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할 소액주주들의 부담을 완화하고 기존 주주의 지분가치 희석 부작용을 감소시키면서 필요한 자금 3조6000억원을 모두 조달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밝혔다.
이날 열린 언론 설명회에서 안병철 한화에어로 전략총괄 사장은 "유증 발표 이후 주주, 언론, 시민단체 등으로부터 질책과 염려의 말씀이 있었고, 반성을 뼈저리게 했다"며 "경영적으로 옳은 방향이더라도 이렇게 밀어붙이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해 유증 규모 축소와 제3자 배정 증자를 결정했다"고 했다.
그는 "1조3천억원을 되돌리는 방법도 대주주들은 일반주주들이 받는 15%의 할인 없이 가겠다는 것"이라며 "저희가 분명히 부족했던 부분들이 많았다"고 사과했다.
안 사장은 각국의 방위산업 투자가 전례 없이 빠르게 진행되는 등 방산업은 기회와 위기를 동시에 맞고 있다며 시급하고 필수적인 사업 활동을 위해 과감한 대규모 투자를 이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장기적으로 향후 4년간 방산은 물론 조선과 해양, 에너지 분야에 총 11조원을 투자한다. 2035년까지 연 매출 70조원, 영업이익 10조원 시대를 열겠다는 방침이다.
신지훈 기자 gamja@
저작권자(c)뉴스웨이(www.newsw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