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들리 전 뉴욕 연은 총재 "완전한 경기침체" 경고
블랙록 CEO “기업대표들 이미 경기침체라고 말할 것”
"트럼프 관세발 고물가, 연준 금리인하 막을 수 있어"
美 기업인·억만장자 이구동성 "관세 정책 재고" 촉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 뉴욕 연은 총재 “美 완전한 경기침체 빠질 것”
빌 더들리 전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 칼럼에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의 이중고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며 “스태그플레이션은 낙관적인 시나리오에 불과하고, 가장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는 미국이 더 높은 인플레이션을 동반한 완전한 경기침체에 빠지는 것”이라고 밝혔다.
더들리 전 총재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유무역에 대한 공격은 그 범위와 규모, 비타협적 태도 측면에서 전례가 없다고 평가하며 미국의 가중 평균 관세율은 올해 3% 미만에서 25% 이상으로 급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보다 10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더들리 총재는 또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자극,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를 바라기 어려운 상황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연준이 5년 넘게 2% 인플레이션 목표를 초과해왔다는 점을 들어 물가 상승을 용인하면 오히려 시장의 기대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핑크 CEO는 “경제는 우리가 말하고 있는 지금 이 순간에도 약화하고 있다”며 관세 부과로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면서 시장이 기대하는 연준의 금리 인하를 막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더들리 전 총재와 마찬가지로 관세가 미국의 물가 상승률을 끌어올려 연준의 지원을 바라기 어려운 상황이 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회장 (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월가 황제 다이먼, 트럼프 지지 억만장자 애크먼도 ‘관세전쟁’ 경고
‘월가의 황제’로 불리는 제이미 다이먼 회장도 전날 주주들에게 보낸 연례 서한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가 수입품과 국내 가격의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그가 연례 서한에서 미국의 단일 경제 정책에 대해 직접적으로 비판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다이먼 회장은 지난 1월 CNBC와 인터뷰에서 “국가안보는 인플레이션보다 훨씬 중요하기 때문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고강도 관세 정책을 내놓자 이전과 다른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했던 기업인들도 상호관세 발표 후 주식시장 폭락 등 충격파가 거세지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공개적으로 맹비난했다. 홈디포의 공동 창립자이자 오랜 공화당 후원자인 억만장자 켄 랭곤은 파이낸셜타임스(FT)에 “그 빌어먹을 계산법(goddamn formula)을 이해할 수 없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 정책에 있어 잘못된 조언을 받고 있고, 상호 관세율 계산법도 문제”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랭곤 창업자는 “베트남에 대한 46% 상호관세는 헛소리이며, 중국에 대한 추가 34% 상호관세는 너무 공격적이고, 너무 성급했다”고 표현했다. 그는 이러한 조치들에 대해 “상대방에게 진지한 협상의 기회조차 주지 않았다”면서 “무역 상대국에 ‘굳이 전화하지 마세요’와 말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고 꼬집었다.
미국 억만장자 투자자이자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의 멘토로 꼽히는 스탠리 드러켄밀러 역시 지난 6일 엑스(X·옛 트위터)에 “10%를 초과하는 관세는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