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활동이 많아지는 봄철에는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특히 평소와 달리 어깨 근육을 많이 쓰는 테니스나 야구, 배드민턴, 골프와 같은 운동을 하게 되면 자주 발생하는 부상 중 하나가 '어깨충돌증후군'이다.
어깨충돌증후군(impingement syndrome)은 글자 그대로 어깨를 감싼 회전근개가 아직 파열되지 않았지만, 힘줄이 어깨 뼈와 부딪혀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노화나 잘못된 자세, 과도한 운동에 의해 어깨 주위 근육이 쇠약해지거나 긴장해 어깨 관절의 뼈 사이 공간이 좁아져 어깨 힘줄이 뼈와 충돌 및 마찰하면서 어깨충돌증후군이 발생한다. 팔을 앞이나 옆으로 올릴 때 아프고, 손등을 엉덩이 쪽으로 가져가면 날카로운 통증이 생긴다. 팔을 움직이지 않으면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발견하기 어렵다.
어깨는 우리 몸에서 유일하게 360도 회전이 가능한 관절로, 3개 뼈(어깨뼈(견갑골), 빗장뼈(쇄골), 위팔뼈(상완골))와 4개 관절, 회전근개(4개의 어깨 근육과 힘줄)로 이뤄져 있다. 활동 반경이 넓고 사용 빈도가 높아 다치기도 쉽다.
김형건 인천힘찬종합병원 정형외과 진료원장은 "어깨는 누구나 한번쯤 불편함을 겪는 부위로 남녀노소 모두 통증을 경험하기 쉽다"며 "머리 위로 손을 올리는 동작이나 작업 등 반복된 사용으로 통증이 생기기도 하지만 운동으로 인한 외상성 어깨 질환도 많다"고 설명했다. 테니스나 배드민턴은 적당히 하면 어깨 유연성과 근력을 키울 수 있지만, 지나치게 움직이면 어깨충돌증후군이 생길 수 있다. 수영 역시 관절에는 부담이 없지만, 어깨충돌증후군 증상을 악화시킨다.
최경원 목동힘찬병원 정형외과 원장은 "콜라겐 주사 치료는 회전근개 부분 파열까지 진행된 환자가 회전근개 봉합 수술에 이르지 않고 통증 완화와 어깨 기능 회복을 기대해볼 수 있는 치료법"이라고 말했다.
[김보람 매경헬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