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목)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월급 1400만원 줍니다” 제2의 량원펑 찾는 중국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봄철 채용 시즌, 주요 분야서 AI 관련 모집 절반 넘어

로봇기업 유니트리, AI 분야 월급 최대 1400만원 지급

AI 산업 구직자수 33% 증가, 대학도 관련 교육 확대해

[베이징=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중국에서 등장한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창업자 량원펑)와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인 유니트리(창업자 왕싱싱) 등이 등장하며 AI에 대한 인재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중국 채용 시즌에서는 기업마다 AI와 관련한 직책 채용을 확대하는 등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는 판단이다.

중국 안후이성 허페이에서 취업 박람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현지에서는 봄철을 맞아 여러 지역에서 취업 박람회가 열리고 있는데 AI 알고리즘과 로봇 개발을 전공으로 삼은 인재들이 각광 받고 있다. 중국 관영 중국중앙TV(CCTV)는 올해 봄 채용 시즌 동안 AI 산업의 구직자수는 전년동기대비 33.4% 증가했다고 8일 보도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항저우에서 약 830개 기업이 2만1000개의 일자리를 공고했다. 이중 절반은 AI 알고리즘 개발에 집중됐다.

항저우에 본사를 둔 전자상거래 대기업 알리바바는 이번 봄철 채용에서 3000명 이상의 채용 공고를 냈다. 이번 채용에서 AI와 관련된 일자리는 전체 50%를 차지했다. 알리바바그룹 계열사인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경우 AI 관련 직책 채용 규모가 전체 80%를 넘었다.

항저우 ‘육소룡’(여섯 마리 작은 용) 중 하나인 유니트리의 경우 최근 취업 박람회에서 AI 알고리즘과 로봇 모션 제어 알고리즘 엔지니어 등에서 10개의 일자리를 모집했다. 이 직책의 월급은 최대 7만위안(약 14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저우일보는 최근 광둥성 광저우에서 열린 채용 박람회에서 5만개 이상의 구인 공고 중 AI 관련 직책 수요가 많았다고 보도했다.

국유기업인 광둥라이징홀딩스그룹은 AI와 로봇공학에 중점을 두고 대학 졸업생 2000명을 모집한다. 자동차 제조업체인 엑스펑은 자율주행, 스마트 주행, 지능형 로봇공학을 포함해 직원 6000명으로 고용할 계획이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GT)는 전문가를 인용해 AI 인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은 실험실에서만 다뤄지던 AI 기술이 산업으로 이동하면서 기업 디지털 혁신을 위한 핵심 인프라가 됐음을 나타낸다고 분석했다.

AI 제품 생산기업인 시루이일렉트로닉테크놀로지의 양밍 최고기술책임자(CTO)는 GT에 “AI 기술은 연구개발·생산·서비스의 전체 프로세스를 포함해 수많은 알고리즘 인재가 필요하다”며 “수학에 대한 탄탄한 기초와 강력한 실무 능력을 갖춘 학생은 AI에 대한 배경지식만 있다면 매우 환영받는다”고 전했다.

중국 사회과학원의 왕펭 부연구원은 미래 AI 산업에서 알고리즘 엔지니어와 대규모 모델 개발자를 포함한 핵심 기술 지책, 기술·산업 지식이 필요한 AI 제품 관리자, 데이터 유출과 악의적 공격을 방지하는 AI 윤리·보안 직책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중국 대학들도 빠르게 증가하는 AI 인재 수요에 대응할 예정이다. 신화통신은 “중국의 고등교육 시스템은 500개 이상 대학에 AI 프로그램을 도입해 역사상 가장 빠른 학문적 확장 중 하나를 이뤘다”며 “칭화대, 우한대, 상하이교통대 등 주요 대학은 증가하는 인재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AI 및 관련 분야의 등록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고 전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