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랑 콜레오스, 지난해 9월 출시 동시에 네이버 '웨일' 선탑재
개발 기간 8개월 만에 차량 적용 완료…르노·네이버 긴밀 협업
스마트폰·PC와 비슷한 UI 구현하면서도 차량 특화도 무리 없어
[사진=네이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자동차 회사가 굉장히 보수적이어서 하나의 제품을 탑재하는 데 4년은 걸린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르노에서 전향적으로 제품 탑재 작업에 돌입해서 매우 빠른 시간 내 실제 차량에 네이버 '웨일'을 탑재할 수 있었습니다."
김효 네이버 웨일 책임리더는 8일 서울 성동구 르노 성수에서 열린 '그랑 콜레오스 커넥티비티 서비스 테크 세션'에서 르노의 '그랑 콜레오스'에 네이버의 웹 브라우저 '웨일'이 탑재된 과정을 소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9월 르노코리아가 한국에 선보인 그랑 콜레오스에는 '웨일'의 차량용 브라우저가 기본으로 장착됐다. 앞서 작년 2월 네이버는 르노코리아, 드림에이스와 자동차용 웹 플랫폼 구축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은 바 있다. 기존 PC·모바일용으로 구축된 웨일을 자동차 환경에 맞게 최적화해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적용했다. 이로써 그랑 콜레오스 내 앞좌석에 적용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웨일에서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웹 기반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사용성은 PC나 모바일과 비슷하다. 다만 네이버는 웨일 브라우저를 그대로 자동차에 탑재하는 대신 차량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고안했다. 이에 주로 사용하는 '즐겨찾기' 서비스를 앱 아이콘 형태로 만들어 이용자들이 터치 한 번으로 직관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했다. 형태만 보면 스마트폰 앱이나 PC 바탕화면에 아이콘이 배열된 형태와 똑같다. 김효 리더는 "최대한 스마트폰 등 모바일에서 하는 경험과 비슷하게 만들고자 했다"며 "이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자주 가는 사이트는 홈 화면에도 배열할 수 있도록 했다"고 언급했다.
[사진=윤선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개발 과정에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자동차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웨일 브라우저가 원활하게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특히 운전석과 조수석 등 여러 디스플레이를 오가면서 작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차량의 전반적인 하드웨어 성능이 PC나 모바일만큼 높지는 않기 때문에 최적화에 큰 비중을 두고 작업했다. 또 자동차의 특성상 동영상 서비스를 실행하다가 자동차 운행이 재개되면 동영상을 자동으로 멈추도록 하는 기능이나, 동승석 블루투스 이어폰 기능 등 여러 특화 기능들이 필요한데 웹에서 이를 구현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김 리더는 "자동차와 인터랙션하는 부분을 개발하는 데 굉장히 시간이 많이 들었다"며 "자동차라는 환경이 독특한 환경이기도 하고 필요한 기능들도 여러 가지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적용하는 데 시간을 주로 보냈다"고 언급했다.
한때 네이버는 브라우저를 넘어 차량용 운영체제(OS)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웨일 오토(가칭)'를 개발하기도 했다. 다만 현재는 OS 대신 차량용 브라우저에 전념하는 쪽으로 선회했다. 김 리더는 "한때 웹OS 방식으로 웨일 오토를 만드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현실적으로 차량 OS를 직접 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며 "브라우저만으로도 OS와 어느 정도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했고 차량용 브라우저 확대에 나선 것"이라고 언급했다. 네이버는 향후 그랑 콜레오스 외에도 다양한 차종에 웨일을 탑재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주경제=윤선훈 기자 chakrell@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