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목)

트럼프에 납작 엎드린 일본…25분간 전화 읍소해 '협상 기회'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선 협상 기회 얻은 일본, 하루 만에 주가 6% 반등

대만·태국·베트남 등 앞다퉈 미국과 관세 협상 타진



[앵커]

중국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지만, 일본은 어떻게든 실리를 취하고자 납작 엎드린 모양새입니다. 이시바 총리가 나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화로 읍소한 끝에 미국과 우선 협상할 기회를 얻었습니다.

이 소식은 도쿄 정원석 특파원입니다.

[기자]

어젯밤(7일) 트럼프 미 대통령과 전화 회담을 가진 이시바 일본 총리.

두 정상은 25분간 통화하면서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정부 간 협상을 해 나가기로 정했습니다.

[이시바 시게루/일본 총리 (어젯밤) : 담당 각료를 정하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추이를 보면서 가장 적절할 때 미국에 가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회담하는 것은 당연히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미국과의 협상을 위해 자신을 본부장으로 하는 '종합대책본부'를 급히 신설하는 한편, 측근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담당상을 협상 담당 각료로 임명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이 고위급 협상팀을 보내기로 했다고 전하며 특히 중국을 콕 집어 문제라는 식으로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올리기도 했습니다.

미국은 일본과의 협상 담당으로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을 임명했습니다.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부 장관 (폭스뉴스 인터뷰) : 거의 70개국에서 접촉해 오고 있습니다. 일본은 매우 빨리 나섰기 때문에 우선 협상 대상이 될 겁니다.]

한 줄기 실낱 같은 희망을 품게 된 일본은 오늘만 주가가 6% 넘게 오르며 3만 3천 엔선을 회복했습니다.

관세 면제가 된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협상의 물꼬가 트였다는 데 대해 시장과 여론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입니다.

대만과 태국, 베트남 등도 협상과 대화로 관세 문제를 풀어보겠다는 입장입니다.

다만 결과를 낙관할 순 없습니다.

가장 먼저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진 이스라엘은 관세 인하를 거절당했습니다.

[화면출처 유튜브 'FoxBusiness']

[영상취재 박상용 김무연 / 영상편집 류효정 / 영상디자인 한영주]

정원석 특파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