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선제적 대응’ 필요성 지적
계엄으로 오른 환율, 관세 충격까지 덮쳐
7일 33.7원 ‘껑충’… 5년 만에 최대 상승
전일 주간 1473.2원… 금융위기 후 최고치
수입 제품값 자극… 물가 상방 압력 작용
최근 식품업체들 잇단 가격 인상도 악재
물가 불안 땐 내수 침체·서민 고통 가중
“정부, 통상 채널 다각화 등 적극 나서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통계청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로 2월(2.0%)과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 1.6%로 낮아진 뒤 12월까지 1%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후 올해 1월 2.2%로 올라선 뒤 2% 안팎에 머물고 있다.
문제는 고환율 현상이 지속되면서 향후 물가가 예상보다 더 크게 오를 수 있다는 점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올해 1월 원·달러 환율은 전년 동월 대비 10.0%(월평균) 올랐고, 2월과 3월에도 각각 8.5%, 9.5% 상승했다. 지난해 9월만 해도 달러당 1334.82원이었던 환율은 10월 1361.00원, 11월 1393.38원으로 상승한 뒤 불법 비상계엄 사태가 발생한 12월 1434.42원까지 올랐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은 환율 불안에 기름을 붓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부터 10%의 기본관세를 시행한 데 이어 9일부터는 우리나라(25%)를 비롯한 주요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특히 미국의 54% 관세 부과 조치에 맞서 중국이 9일부터 34%의 보복 관세로 대응하겠다고 밝히는 등 글로벌 무역 전쟁이 현실화하고 있다. 주요국의 통상 마찰은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이어지고, 이는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해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를 하락시키는 원인이 된다. 실제 7일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33.7원 오른 1467.8원을 기록하며 코로나19 이후 5년 만에 가장 크게 상승했고, 이날은 1473.2원까지 뛰며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이 미국발 관세 전쟁에 대응해 위안화를 절하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경우 위안화 동조 성향이 강한 원화가 추가 하방압력을 받을 수 있다는 점 역시 불안 요소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환율이 오르면 원화로 환산한 원자재 가격이 올라 기업 부담이 늘고, 수입제품의 가격이 상승한다. 이는 국내 전체 물가를 밀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KDI는 최근 ‘경제동향 4월호’를 통해 “높은 환율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향후 소비자물가의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올해 1월 정부가 내놓은 물가상승률 전망치(1.8%)보다 오름폭이 더욱 커질 경우 서민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다. 최근 물가가 2% 안팎에서 등락하고 있지만 윤석열정부 초기 물가가 워낙 크게 뛰어 체감 물가는 오를 대로 오른 상황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3월 소비자물가는 3년 전인 2022년 3월과 비교해 9.6% 올랐고, 2년 전인 2023년 3월 대비 5.2% 상승했다.
세종=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