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35년만에 4천만t 아래로
이달 가동중단 소성로 10기 달해
“마진 없어도 팔아야” 수출 타진
이달 가동중단 소성로 10기 달해
“마진 없어도 팔아야” 수출 타진
경기도의 한 시멘트공장 차고지에 주차된 레미콘 믹서트럭들의 모습. 사진과 기사는 관련 없음. [매경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재 충북 제천 시멘트 공장 소성로 1기의 가동을 이달 추가로 중단할 예정입니다. 성수기인데도 공장 가동률이 70%에 불과하니 달리 방도가 없네요.”
8일 최병준 아세아시멘트 제천 공장장은 매일경제와 통화하며 “제천공장 소성로 1기를 추가로 중단해 가동하는 소성로는 2기가 된다”고 밝혔다. 소성로 총 4기를 보유한 아세아시멘트 제천공장은 1기를 이미 가동하지 않는데 이달 추가로 1기를 중단할 계획이다. 최 공장장은 “통상 매년 3~6월, 9~11월이 건설 활동이 활발해 시멘트 업계 성수기인데도 출하량은 심각하게 낮은 수준”이라며 “시멘트 성수기가 왔는데도 시멘트 출하량이 낮은 수준인데 지금이 바닥이 아닌 것 같아 더 걱정”이라고 말했다.
건설경기 침체에 따라 시멘트 출하량이 급감하면서 가동이 중단되는 소성로가 늘고 있다. 국내에는 전국적으로 소성로 35기가 있는데 이미 8기가 운영을 중단했다. 한일시멘트 단양공장은 생산량 조절을 위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생산라인 6기 중 2기의 가동을 중단했다. 가동 중단 소성로는 이달 2기가 늘어 총 10기에 달할 예정이다.
내수 부진에 시멘트 업계에서는 올해 35년 만에 연간 시멘트 내수 출하량이 4000만t을 밑돈다는 전망이 기정사실로 통한다.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올해 1~2월 시멘트 내수는 전년 동기 대비 24.8% 감소한 445만t에 그쳤다. 이는 최근 5년간 같은 기간 내수 판매 중 가장 낮다.
시멘트 업계에서는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건설경기에 종속된 구조상 효과는 크지 않은 실정이다.
A사 관계자는 “내수가 부진하다 보니 적은 물량이라도 수출을 시도하는 것”이라며 “지구 반대편으로 시멘트를 수출한다는 건 남는 게 없는 장사지만 공장은 돌려야 하고 쌓이는 재고를 그냥 방치할 수도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