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동부 시간 기준으로 이날 오전 8시 55분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E-미니 다우 선물은 전날보다 1,059.00포인트(2.77%) 오른 3만 9,224.00을 가리켰다. E-미니 S&P500 선물은 전날보다 126.50포인트(2.48%) 상승한 5,223.75에 거래되고 있으며, E-미니 나스닥100 선물도 409.75포인트(2.33%) 전진한 1만 7,973.00을 나타냈다.
뉴욕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날 뉴욕 증시는 트럼프 관세와 관련한 '가짜 뉴스'를 둘러싼 잡음 속 극도의 변동성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관세를 90일간 유예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는 뉴스가 전해지자 2% 안팎 내리던 지수가 일시적으로 2% 넘게 오르는 안도 랠리를 보였다.
하지만 백악관이 이에 대해 가짜 뉴스라고 밝히자 주요 지수는 다시 하락세로 전환했다. 전날 하루 거래량은 무려 290억 주에 이르며 최소 18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역시 미국과의 협상을 희망하는 나라가 거의 70개국에 이른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최대한도의 협상 지렛대를 확보했을 때 기꺼이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최근 S&P500 지수가 이틀 연속 4% 내리는 등 단기 과매도 조짐을 보인 것도 이날 저가 매수세 유입을 부추겼다.
한편 트럼프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가열과 글로벌 침체 우려에 높아진 안전 선호 속 지난주 4% 아래로 밀렸던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다시 4%를 넘어섰다.
이에 대해 상호 관세 협상에 대한 기대 속 안전 선호 심리가 후퇴하며 국채 금리가 상승했다는 해석, 최근 주가 급락에 마진 콜이 걸린 펀드 매니저들이 증거금 마련을 위해 보유하고 있던 미 국채를 매도한 여파라는 해석, 중국 등 큰손들의 미 국채 매도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 등이 나왔다.
CVS 약국 간판 [사진=블룸버그통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날 미 증시의 주요 지수가 낙폭을 크게 줄이며 혼조세로 장을 마쳤지만, S&P500 지수는 지난 3거래일 동안 10% 이상 빠졌으며, 월가의 대표적인 공포 지수인 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날 45.31을 찍으며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당시 수준으로 회귀했다. 장중 일시적으로 60까지 치솟기도 했다. 여전히 투자자들 사이 불안감이 그만큼 크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번 주 시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와 관련한 추가적인 발표와 더불어 미국의 3월 소비자 물가지수(CPI)와 연준의 3월 FOMC 의사록 공개에 주목할 전망이다. 상호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높일 것이라는 우려 속에 지난달 CPI가 예상치를 하회한다면 시장의 우려는 다소나마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3월 CPI는 10일 발표될 예정이다.
이어 11일 나오는 3월 생산자 물가지수(PPI)와 4월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잠정), 기대 인플레이션 등도 미국의 향후 물가 흐름을 가늠할 지표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높아지는 침체 우려 속 단기 자금 시장(머니 마켓) 참가자들은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예상보다 공격적인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을 금리 선물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시카고 상업 거래소(CME) 그룹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금리 선물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이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총 4차례 인하할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트럼프의 관세 발표 전까지 시장은 연내 3차례 인하를 가장 유력하게 반영했었다.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AVGO)은 100억 달러 규모의 자산주 매입 프로그램 발표에 주가가 5% 넘게 오르고 있다.
미국 대표 방산 기업 ▲록히드 마틴(LMT)은 베트남이 미국과의 무역수지 균형 회복을 위해 미국산 방산 제품 구매를 추진할 것이란 소식에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3% 가까이 상승하고 있다.
반도체 기업 ▲마벨 테크놀로지(MRVL)는 독일 인피니온 테크놀로지(Infineon Technologies AG)에 자동차 네트워킹 사업부를 25억 달러 현금에 매각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에 개장 전 주가가 5% 넘게 오르고 있다.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