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요일 발효 예정인 상호관세의 유예 가능성을 일축했습니다.
다만, 추후 개별 협상에 따라 세율 등을 조정할 여지는 남겼습니다
이치동 기자입니다.
[기자]
백악관에서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만난 트럼프 대통령에게 관세 관련 질문이 쏟아졌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현지시간 7일)> "(협상을 위해 관세를 유예할 용의가 있나요?) 그건 검토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미 많은 국가가 미국과 공정한 거래를 위한 협상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현지시간 7일)> "경우에 따라서는 상당한 관세를 내야 할 거예요."
관세 부과가 영구적이라면서 협상도 가능하다는 건 모순적인 거 아니냐는 지적에 "둘 다 맞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현지시간 7일)> "영구적일 수도 있고, 협상이 있을 수도 있죠. 관세 외에도 필요한 것들이 있으니까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거의 70개 나라가 협상을 요청해 왔다며, 이 때문에 4월과 5월은 물론, 아마도 6월까지 바쁠 거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최대한도의 지렛대, 즉 협상력을 가질 때 협상을 시작할 거라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책사'로 불리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고문은 협상의 포인트가 '비관세 사기'를 막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무역 상대국의 환율 조작, 지식재산권 도용, 부가가치세 왜곡 등을 예로 들었습니다.
뉴욕 증시가 빠르게 바닥을 다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렉 맥브라이드/ 뱅크레이트의 수석 애널리스트> "(이번 관세 전쟁은) 확실한 게임 체인저입니다. 하지만, 어디로 가는지, 얼마나 지속될지, 협상이 어떻게 될지 모릅니다."
교수 출신 강경 보호무역주의자인 나바로의 지론을 땔감으로 한 트럼프의 관세 폭주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종착지는 어디일지에 대한 불안과 공포가 커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 이치동입니다.
#트럼프 #관세유예 #비관세 #무역장벽 #나바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치동(lcd@yna.co.kr)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요일 발효 예정인 상호관세의 유예 가능성을 일축했습니다.
다만, 추후 개별 협상에 따라 세율 등을 조정할 여지는 남겼습니다
이치동 기자입니다.
[기자]
백악관에서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만난 트럼프 대통령에게 관세 관련 질문이 쏟아졌습니다.
이미 많은 국가가 미국과 공정한 거래를 위한 협상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현지시간 7일)> "경우에 따라서는 상당한 관세를 내야 할 거예요."
관세 부과가 영구적이라면서 협상도 가능하다는 건 모순적인 거 아니냐는 지적에 "둘 다 맞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거의 70개 나라가 협상을 요청해 왔다며, 이 때문에 4월과 5월은 물론, 아마도 6월까지 바쁠 거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최대한도의 지렛대, 즉 협상력을 가질 때 협상을 시작할 거라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책사'로 불리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고문은 협상의 포인트가 '비관세 사기'를 막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뉴욕 증시가 빠르게 바닥을 다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렉 맥브라이드/ 뱅크레이트의 수석 애널리스트> "(이번 관세 전쟁은) 확실한 게임 체인저입니다. 하지만, 어디로 가는지, 얼마나 지속될지, 협상이 어떻게 될지 모릅니다."
교수 출신 강경 보호무역주의자인 나바로의 지론을 땔감으로 한 트럼프의 관세 폭주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종착지는 어디일지에 대한 불안과 공포가 커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관세유예 #비관세 #무역장벽 #나바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치동(lcd@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