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실이 늘면서 지역에 따라 임대수익률도 큰 폭으로 떨어졌다. 서울 마포구 홍대입구역 인근 거리의 상점들이 임대 안내문이 붙은 채 새로운 임차인을 기다리고 있다./더팩트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팩트 | 김원장 언론인] 서울 마포구의 한 5층 꼬마빌딩. 1층에 편의점과 배달 아이스크림점 등 7개의 상점과 사무실이 들어와 있다. 공실은 2개, 월 임대료 수입은 월 1300만 원 정도다. 그런데 매물로 나온 건물가격이 110억 원이다. 공인중개사는 "시작가는 좀 비싸지만 얼마든지 협의가 가능한 가격"이라고 했다.
시중 금리는 보통 10년물 국채 가격에 연동한다. 2.7%다. 110억 원을 은행에 예금하면 연 2억 8600만 원, 매월 2천300만 원의 이자수익(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누가 월 1300만 원의 임대소득이 나오는 이 건물을 매입할까?
공실이 늘면서 지역에 따라 임대수익률도 큰 폭으로 떨어졌다. 반면 건물의 매입과 유지 비용은 급등했다. 110억 꼬마빌딩의 취득세율은 4.6%. 여기에 법무사 비용과 최대 0.9%의 부동산 중개수수료를 합치면 매입 비용만 5억 원이 훌쩍 넘어간다. 재산세와 종부세 등 세금과 중개수수료 등 유지관리비용도 연간 수천만 원이 들어간다. 그런데 서울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이미 지난해 상반기 14%를 넘어섰다. 인천의 오피스 공실률은 20.83%다.(한국부동산원 2024년 4분기)
꼬마빌딩 투자는 10여년 전 유명 연예인들이 큰 수익을 올리면서 유행처럼 번졌다(보통 건물 연면적 3300㎡ 이하 건물을 꼬마빌딩이라고 부른다). 코로나 무렵 금리가 1%대까지 떨어지자 꼬마빌딩 투자에 봇물이 터졌다. 50% 이상 대출이 묶인 아파트보다 자금 조달이 훨씬 쉬웠다. 80%까지 대출을 안고 투자하는 법인도 많았다. ‘서울 부동산 오늘이 제일 싸다’라는 경제신문 기사가 나올 무렵이다.
그해 서울의 중소형빌딩 거래총액은 6조 3천억 원으로 1년 전에 비해 36.3%가 급감했다(KB부동산통계). 경매 매물도 계속 늘어난다. 지난 1월 기준 상업용 부동산의 매각가율은 감정가의 54%까지 떨어졌다(리치고). 가수 수지가 37억 원에 매입한 꼬마빌딩은 시세가 80억까지 올랐다고 한다. 수지가 수지맞을 수 있었던 이유는 9년 전에 구입했기 때문이다.
유명 가수에서 프리미어리그 축구선수, 전직 대통령까지 한국사회에서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건물주’다. 국민 모두의 인생 목표가 건물주인 나라. 그만큼 건물주가 주는 지대효과가 컸다는 뜻이다. 이 효과는 언제까지 계속될 수 있을까. 시장경제에서 모두가 달려들어 한 제품을 계속 공급하는데 언제까지 가격이 오를 수 있을까.
흔히 꼬마빌딩을 ‘수익형’ 부동산이라고 한다. ‘수익형’ 부동산은 돈을 벌기 위한 부동산이다. 그런데 성장이 멈춘 시장에서 누군가 돈을 번다면 누군가는 돈을 잃어야 한다. 올해 우리 성장률은 1% 초반이 될 것 같다. 1월에만 자영업 점포가 20만 개 줄었다. 누군가의 ‘수익형’ 부동산은 누군가의 ‘손실형’ 부동산이 될 수밖에 없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