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현지시간 8일 알래스카 석유·천연가스 개발 사업이 한국과 일본, 대만의 관세 협상에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일본, 아마도 한국, 아마도 대만이 제공할 수 있는 알래스카의 대규모 에너지 거래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며 "일본과 한국, 그리고 대만이 많은 가스관과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는 미국에 많은 일자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무역적자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관세 협상에서) 그들이 먼저 제안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모든 것이 테이블 위에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백악관의 통화 목록을 봤는데, 상당히 길었다"며 "어젯밤에 어느 나라와 우선 통화할지 논의했고,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가 큰 몇몇 거대한 국가들이 매우 빠르게 움직일 것으로 본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관세 부과를 예고 받은) 많은 무역 파트너가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으며, 침착함을 유지하고 있다"며 "그들은 (보복을 통해 관세전쟁을) 확대하지 않았고, 그들은 그 줄에서 우선권을 갖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반면 미국에 보복 관세를 발표한 중국에 대해선 "매우 큰 실수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했습니다.
#관세 #트럼프 #알래스카
장한별(good_star@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