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여름을 앞두고 부채에 그려진 선조들의 시와 그림을 감상할 수 있는 전시회가 열렸습니다.
조선을 대표하는 추사 김정희, 단원 김홍도부터 근대 서화가들의 부채 그림과 글씨에는 시대의 풍류와 멋이 한껏 담겨 있습니다.
김정아 기자가 소개해드립니다.
[기자]
청나라 학자 섭지선이 정조의 사위이자 문인화가였던 홍현주에게 선물한 부채 그림!
싱그러운 연둣빛 댓잎엔 청아한 바람 소리까지 담겼습니다.
추사 김정희가 그린 부채 그림은 먹의 농담을 살린 영지버섯과 난꽃이 조화롭고, 우봉 조희룡의 난 그림 앞에 서면 시기에 따라 화풍이 달라진 이유가 궁금해집니다.
[김영욱 / 간송미술관 전시교육팀장 : 조희룡 초기의 난은 김정희의 영향을 받아서 한대 예서에서 비롯된 난법을 따랐다면 후기에는 유배 이후에 조금 더 격분하는 감정이나 울분을 통해서 어지럽고 흐드러진 난을 추구했던 것 같습니다.]
가로 78,세로 28 센티미터의 커다란 부채에 그려진 그림은 단원 김홍도의 그림인데,
오른쪽 상단, 스승 강세황의 애정 어린 폭풍 칭찬이 눈에 띕니다.
김홍도가 큰 병에 걸려 운신을 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그가 다시 병에서 쾌유해 이렇게 아름다운 작품을 남길 수 있어서 가히 기쁘다.
매해 봄과 가을, 소장품을 주제별로 엮어 기획 전시를 해온 간송미술관!
이번 봄엔 부채 그림과 글씨가 주제입니다.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부채 서화 가운에 55점의 대표 작품이 공개됐고, 이 가운데 23점은 최초 공개되는 작품입니다.
여름엔 부채, 겨울엔 달력, 계절을 품은 선물로 정을 주고받았던 우리 선조들!
[전인건 / 간송미술관장 : 그냥 빈 부채를 줄 수는 없으니까 본인의 마음을 담은 그림이라든지 글씨라든지, 이런 것들을 담아서 요즘으로 치면 개인화된 맞춤형 선물을 하셨던….]
간송 전형필의 후원을 받은 근대 예술인들의 부채 서화에는 상대의 복을 기원하는 글귀와 그림이 가득합니다.
조선 문인들이 꼭 가보고 싶어 했던 중국의 명승지부터, 중국 여인 100명의 이름을 빼곡히 나열한 청나라 규방 예술까지.
부채에 남긴 저마다의 이야기는 다음 달 말까지 계속됩니다.
YTN 김정아입니다.
촬영기자 : 김정원
YTN 김정아 (ja-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YTN서울타워 50주년 숏폼 공모전!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여름을 앞두고 부채에 그려진 선조들의 시와 그림을 감상할 수 있는 전시회가 열렸습니다.
조선을 대표하는 추사 김정희, 단원 김홍도부터 근대 서화가들의 부채 그림과 글씨에는 시대의 풍류와 멋이 한껏 담겨 있습니다.
김정아 기자가 소개해드립니다.
[기자]
청나라 학자 섭지선이 정조의 사위이자 문인화가였던 홍현주에게 선물한 부채 그림!
싱그러운 연둣빛 댓잎엔 청아한 바람 소리까지 담겼습니다.
추사 김정희가 그린 부채 그림은 먹의 농담을 살린 영지버섯과 난꽃이 조화롭고, 우봉 조희룡의 난 그림 앞에 서면 시기에 따라 화풍이 달라진 이유가 궁금해집니다.
가로 78,세로 28 센티미터의 커다란 부채에 그려진 그림은 단원 김홍도의 그림인데,
오른쪽 상단, 스승 강세황의 애정 어린 폭풍 칭찬이 눈에 띕니다.
김홍도가 큰 병에 걸려 운신을 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그가 다시 병에서 쾌유해 이렇게 아름다운 작품을 남길 수 있어서 가히 기쁘다.
이번 봄엔 부채 그림과 글씨가 주제입니다.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부채 서화 가운에 55점의 대표 작품이 공개됐고, 이 가운데 23점은 최초 공개되는 작품입니다.
여름엔 부채, 겨울엔 달력, 계절을 품은 선물로 정을 주고받았던 우리 선조들!
간송 전형필의 후원을 받은 근대 예술인들의 부채 서화에는 상대의 복을 기원하는 글귀와 그림이 가득합니다.
조선 문인들이 꼭 가보고 싶어 했던 중국의 명승지부터, 중국 여인 100명의 이름을 빼곡히 나열한 청나라 규방 예술까지.
부채에 남긴 저마다의 이야기는 다음 달 말까지 계속됩니다.
촬영기자 : 김정원
YTN 김정아 (ja-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YTN서울타워 50주년 숏폼 공모전!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