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갈등 점입가경
영화 등 문화예술분야 제한도 시사
보복관세·추가관세 '엎치락뒤치락'
'펜타닐' 협력 중단 가능성도 높아져
서방연대 약화, 中영향력 제고 사활
[베이징=신화/뉴시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8일(현지 시간)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 간 면담(국제공상계 대표 회견)에서 참석자들과 이동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을 비롯한 글로벌기업 최고경영자(CEO) 30여 명이 참석했다. 2025.03.28. /사진=김진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에 맞서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미국에 빗장을 거는 반격 카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중 갈등이 점입가경으로 치닫는 가운데 이른 시일 내 대화의 문이 열리기는 어려워보인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8일 소셜미디어 계정 '뉴탄친'을 통해 "대미 관세 반격 조치를 위해 중국은 최소 여섯가지 '초식'(招式)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했다"며 "미국산 대두(콩)와 수수 등 농산품에 대한 대폭적 관세 인상, 그리고 조류독감을 근거로 한 미국산 가금육 수입 금지가 우선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미국이 지난 2, 3월 각각 10%의 관세를 부과하자 미국산 픽업트럭을 시작으로 농·축·수산물 등에 보복 관세를 부과했다. 미국이 지난 2일(미국 현지시간) 34%의 폭탄 관세를 터트리자 중국도 기다렸다는 듯 미국산에 34% 관세와 함께 각종 중희토류 대미 수출 금지조치를 4일(중국 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7일(미국 현지시간) "9일부터 중국에 추가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미국이 중국에 추가한 관세가 무려 '104%'가 된다. 중국 정부가 미국의 관세 부과 시점에 맞춰 대응책을 공개해온 점을 감안하면 이번 50% 추가 관세에 대한 반격도 발효일인 미국시간 9일, 중국시간 10일에 발표될 가능성이 높다.
서비스 부문에선 신규 제재가 검토된다. 신화통신은 "중국은 미국 회사의 중국 내 조달 참여를 제한하고, 법률자문 등 업무협력을 막는 등 서비스 영역의 조치도 취할 것"이라며 "미국의 상호관세는 미국 서비스업 수출을 심각한 위기에 빠트릴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 기업에 대한 직접적 제재와 영화 등 문화예술 분야의 제한도 시사했다. 신화통신은 "중국에서 막대한 독점 이익을 누리고 있는 일부 미국 기업이 중국에서 지식재산권을 얻는 상황을 조사하는 방안, 그리고 미국 영화에 대한 수입 축소 및 금지 조치도 고려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이 공급망 전반을 틀어쥐고 있는 전략광물 희토류 수출 제한도 확대될 전망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7일(미국 현지시간) "중국이 트럼프발 무역전쟁에 대응하기 위해 화력을 비축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중국 분석기관 트리비움차이나의 코리 콤스 부소장 발언을 인용 "의료장비나 전기차,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제품 생산에 필수적인 경량 희토류가 제한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의 파상공세에 중국 정부가 강하게 맞대응하면서 미중 무역분쟁은 일단 조기 해결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중국 상무부는 이날 대변인 명의 담화문을 통해 "미국이 고집대로 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끝까지 맞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상호존중의 기초 위에서 평등한 대화를 통해 이견을 해결하자"고 덧붙였지만 트럼프도 시진핑도 갑자기 대화에 나설 명분이 없다. 자칫 굴복으로 비춰질 수 있어 정치적 부담이 크다.
특히 중국으로서는 경제체력이 버텨주는 한 현 상황이 나쁠 게 없다. 미국이 동맹국들을 쉴틈없이 때리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서방연대의 고리는 약해질 수밖에 없다. 대안세력의 중심국가로서 중국의 영향력이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 3기째 집권 중인 시진핑 행정부 입장에서도 강력한 외부의 적은 내부 결속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트럼프의 몽니를 활용하려 들 공산이 크다.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