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30 (수)

상장폐지 시총 기준 상향에…150억 미달 상장사 '안간힘'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스닥 하락에…중소형 상장사 시총 방어 '총력'
시총 150억 원 미만 연초 17곳 → 29곳 증가
IR에 M&A·유증까지…기업들 '존속 사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코스닥 시장이 하락을 거듭하면서 내년부터 강화될 상장유지 요건이 중소형 상장사들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시가총액이 기준선을 밑도는 상장사가 빠르게 늘고 있어, 관련 기업들의 대응이 본격화하는 분위기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150억 원 미만인 코스닥 상장사는 29개(스팩 제외)다. '150억 원'은 금융위원회가 제시한 새로운 상장폐지 기준선이다. 올해 1월, 금융위는 상장 유지 요건을 강화했다. 대표적 정량 요건인 시가총액과 매출액 요건을 실효성 있게 상향했다. 코스닥 상장사는 2026년 기준으로 시가총액 150억 원, 매출액 30억 원(시총 600억 원 미만 기업 한정)을 달성해야 한다. 최소 요건은 2029년까지 점진적으로 강화되며, 최종적으로 시가총액 300억 원, 매출액 100억 원이 기준이 된다.

금융위는 새 기준 발표 당시 시가총액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코스닥 상장사는 5개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조건 미달 기업은 갈수록 증가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시가총액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코스닥 상장사는 올해 초 17개였다. 최근 주가 하락으로 이날 기준 시가총액 기준 미달 기업이 29개까지 증가했다.

국내 증시가 최근 정치적 불확실성ㆍ미국발 상호관세 여파 등 대내외로 혼란을 겪으며 약세를 보인 탓으로 해석된다. 특히, 코스닥 지수는 최근 1개월 새 10.41% 하락하는 등 내림세를 탔다. 주가 급락은 투자자 손실로 이어져 피해를 유발할 위험도 있지만, 내년부터는 상장폐지 문턱에 직면하기 때문에 더 큰 문제가 된다.

다수의 중소형 코스닥 상장사가 시가총액을 끌어올리기 위해 주가 부양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적극적인 기업홍보(IR)가 대표적인 방법으로 꼽힌다. 한 홍보대행사 관계자는 "코스닥 상장폐지 기준이 150억 원으로 강화되면서 시가총액이 150억~200억 원 사이인 중소기업의 IR 문의가 최근 많이 늘었다"라고 전했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인수합병(M&A)이나 신사업 진출 발표를 통해 기업가치 재평가를 유도하거나, 사업구조를 개편해 효율적인 경영 체계를 갖췄다는 신호를 시장에 보내기도 한다"면서 "대규모 수주를 공시해 실적 전망을 높이거나 자사주 매입, 액면분할 등과 같은 투자 심리를 자극하는 방법도 사용된다"고 전했다.

전문가는 상장폐지 요건 강화는 긍정적이지만, 요건을 맞추기 위한 맹목적인 시도는 지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상장폐지 요건 개편은 퇴출 기준을 강화하고, 절차를 효율화함으로써 시장 신뢰를 회복하는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할 수 있다"라며 "다만, 일부 기업이 시가총액 미달 기준을 벗어나기 위해 무분별한 M&A나 유상증자를 시도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자금조달의 목적성과 투명성에 대한 외부 감시 체계가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이투데이/박정호 기자 (godot@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투데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