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尹파면 후' 김문수 대신 한동훈 약진...양자대결은 오세훈·홍준표 '선전'

0
댓글 6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the300]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후 여론조사 트렌드 살펴보니

대선 출마를 위해 사의를 표명한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8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이임식에서 퇴임사를 마친 뒤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2025.4.8/사진=뉴스1 /사진=(세종=뉴스1) 김기남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동안 '보수 1강' 자리를 지켜온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의 지지율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약진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의 탄핵 인용 결정이 내려진 뒤 보수 지지층이 빠르게 현실을 인정하고 대선 본선 경쟁력을 고려한 '전략적 선택' 모드로 들어간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CBS노컷뉴스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지난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선후보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12.7%가 김 전 장관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이어 홍준표 대구시장 9.5%, 한동훈 전 대표 7.6%, 오세훈 서울시장 5.2%,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3.1% 등 순이었다.

김 전 장관은 같은 조사에서 최근 3주간 14.4%, 13.9%, 12.7%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국민의힘 지지층만 보면, 김 전 장관의 지지율은 최근 2주간 29%에서 24.2%로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한 전 대표는 8.6%, 10.4%, 11.4%로 상승세를 탔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도 18.4%에서 20.0%로 소폭 상승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29일 경북 안동 산불 재난 희생자 합동분향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영양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3.30/사진=뉴스1 /사진=(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양자대결에서도 오 시장과 홍 시장이 김 전 장관보다 경쟁력이 높다는 여론조사가 나왔다. 한국갤럽이 뉴스1 의뢰로 지난 6~7일 이틀 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8일 공개한 이 대표와 국민의힘 대권주자 간 양자 대결 결과에 따르면 △이재명 55% 김문수 35% △이재명 51% 안철수 34% △이재명 52% 오세훈 37% △이재명 49% 유승민 32% △이재명 52% 한동훈 31% △이재명 52% 홍준표 36%이다.

이 대표와의 지지율 격차는 오 시장이 15%포인트(P)로 가장 적었으며, 홍 시장 16%P 안철수 의원 및 유승민 전 의원 17%P,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20%P,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21%P 순이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8일 오전 서울 금천구 독산로 한 공부방에서 열린 2025년 서울런 학생 초청 간담회에 앞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08. /사진=뉴시스 /사진=홍효식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경제신문이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4~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이 대표와 보수주자의 양자대결에서도 김 전 장관이 오 시장, 홍 시장보다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대표와의 지지율 격차는 오 시장과 홍 시장이 14%P로 가장 적었으며, 김 전 장관 18%P, 한 전 대표 20%P 순이었다.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각종 여론조사를 종합해 보면, 김 전 장관이 다소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대권주자 선호도에선 한 전 대표의 반등이 두드러지는 양상이다. 이 대표와의 양자대결에선 한 전 대표가 일관되게 약세를 보이고 오 시장, 홍 시장이 높은 경쟁력을 보이는 특징이 발견된다.

홍준표 대구시장이 19일 오후 서울시 관악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에서 '한국 정치의 미래를 묻다’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2025.03.19. /사진=뉴시스 /사진=김근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보수 지지층의 '반탄(탄핵 반대)' 염원과 함께 불어난 김 전 장관의 지지세가 탄핵 인용이 확정된 후 조금씩 꺼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는 보수 지지층이 윤 전 대통령의 탄핵 선고를 빠르게 인정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헌법재판소 선고 이후 탄핵 반대 집회에서의 물리적 충돌은 없었으며, 집회 규모도 빠르게 축소됐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2∼4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516명을 대상으로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결과에 대한 수용 의향을 조사한 결과 '수용할 것'이라는 응답이 76.9%로 나타났다. '수용하지 않을 것'은 17.4%, '잘 모름'은 15.1%로 집계됐다. 보수 지지층에서도 65.7%가 '수용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한 전 대표 측은 최근 지지율 반등세에 고무된 분위기다. 한 전 대표측 관계자는 머니투데이 더300[the300]과의 통화에서 "내부적으론 분위기가 잡혔다고 보고 있다. 6월이 다가올수록 미우나 고우나 한동훈으로 지지세가 옮겨올 것"이라며 "중도 확장력, 무당층 지지율을 볼 때 한동훈이 정답"이라고 했다.

다만 한 전 대표 측은 이 대표와의 양자대결에서 격차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는 게 고민이다. 한 전 대표 지지층과 진보 지지층이 일부 겹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 뇌물 혐의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2025.04.08. /사진=뉴시스 /사진=김근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 시장과 홍 시장 측도 이 대표와의 양자대결에서 선전하는 최근의 추세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홍 시장 측은 같은 '탄핵 반대파'인 김 전 장관의 지지세가 빠르게 홍 시장 쪽으로 옮겨오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홍 시장측 관계자는 "탄핵 인용 후 보수 지지층이 이재명을 상대했을 때의 경쟁력을 보기 시작한 것 같다"고 했다.

오 시장측 관계자는 "보수가 빠르게 승복하면서 결국 본선 경쟁력을 보기 시작한 것"이라고 했다. 오 시장은 이날 서울 금천구 독산동 서울런 학생 초청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최근 지지율이 저조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저조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왜 그렇게 생각하냐, 오전에 발표된 한국갤럽 조사 봤냐. (이 대표와의) 1대1 대결 구도에서 제가 제일 높게 나왔다"고 강조했다.

인용된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박소연 기자 soyunp@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