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요즘 유명 관광지나 캠핑장 같은 곳에서 전동 카트를 빌려주는 업체들이 있습니다. 이걸 타려면 운전면허가 있어야 하는데 상당수 업체가 운전면허증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거나 안전벨트 같은 기본적인 안전장치도 갖추지 않은 채 영업하고 있었습니다.
이태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수도권의 한 전동카트 대여업체입니다.
인근 관광지를 둘러볼 수 있게 카트를 대여하고 있는데, 운전면허증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습니다.
[대여업체 관계자 : (저 운전면허 집에 두고 왔는데.) 안 가지고 오신 건 상관없으세요.]
도로교통법상 최고 정격출력 11㎾ 이하의 원동기를 단 경우 원동기장치자전거로 분류돼 면허 소지자만 운전할 수 있습니다.
안전을 위해 헬멧 착용도 필수지만, 3륜 차량은 헬멧이 필요 없다고도 말합니다.
[대여업체 관계자 : 3륜 바이크는 헬멧 안 쓰셔도 되시구요.]
이 업체의 전동카트들에는 운전석과 탑승석 모두 안전벨트도 설치돼 있지 않았습니다.
언제든 경사로 등에서 사고가 날 수 있지만, 안전 대책이 전무한 겁니다.
지난해 5월 전북 전주 한옥마을에서는, 전동 카트가 내리막길에서 속도를 높이다 전복돼 20대 4명이 큰 부상을 입기도 했습니다.
소비자보호원이 전국 15개 대여업체를 조사한 결과, 11개 업체가 면허 소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았습니다.
또 12개 업체는 안전모를 제공하지 않았고, 이 중 8곳은 카트에 안전벨트가 없거나 일부 좌석에만 설치돼 있었습니다.
[서영호/한국소비자원 생활안전팀장 : 차량 문이 없는 개방형 구조로 안전벨트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으면 사고 발생 시 탑승자가 밖으로 이탈해 머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습니다.]
일부 업체에서는 전동카트의 후미등이나 제동등이 설치돼 있지 않거나 고장 난 경우가 확인됐고, 운행경로에 방호 울타리나 조명시설이 미흡한 곳도 있었습니다.
소비자원은 해당 업체들에 안전 점검을 권고하는 한편, 지자체에도 안전 확보를 위한 조례 제정 등을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 박나영, VJ : 김 건, 디자인 : 강경림, 화면제공 : 전북 전주완산소방서)
이태권 기자 rights@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요즘 유명 관광지나 캠핑장 같은 곳에서 전동 카트를 빌려주는 업체들이 있습니다. 이걸 타려면 운전면허가 있어야 하는데 상당수 업체가 운전면허증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거나 안전벨트 같은 기본적인 안전장치도 갖추지 않은 채 영업하고 있었습니다.
이태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수도권의 한 전동카트 대여업체입니다.
인근 관광지를 둘러볼 수 있게 카트를 대여하고 있는데, 운전면허증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습니다.
도로교통법상 최고 정격출력 11㎾ 이하의 원동기를 단 경우 원동기장치자전거로 분류돼 면허 소지자만 운전할 수 있습니다.
안전을 위해 헬멧 착용도 필수지만, 3륜 차량은 헬멧이 필요 없다고도 말합니다.
[대여업체 관계자 : 3륜 바이크는 헬멧 안 쓰셔도 되시구요.]
언제든 경사로 등에서 사고가 날 수 있지만, 안전 대책이 전무한 겁니다.
지난해 5월 전북 전주 한옥마을에서는, 전동 카트가 내리막길에서 속도를 높이다 전복돼 20대 4명이 큰 부상을 입기도 했습니다.
소비자보호원이 전국 15개 대여업체를 조사한 결과, 11개 업체가 면허 소지 여부를 확인하지 않았습니다.
[서영호/한국소비자원 생활안전팀장 : 차량 문이 없는 개방형 구조로 안전벨트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으면 사고 발생 시 탑승자가 밖으로 이탈해 머리에 심각한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습니다.]
일부 업체에서는 전동카트의 후미등이나 제동등이 설치돼 있지 않거나 고장 난 경우가 확인됐고, 운행경로에 방호 울타리나 조명시설이 미흡한 곳도 있었습니다.
소비자원은 해당 업체들에 안전 점검을 권고하는 한편, 지자체에도 안전 확보를 위한 조례 제정 등을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이태권 기자 rights@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