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강하늘, 마약 중독부터 재활·후유증까지…"'야당', 선과 악 사이 박쥐 같아" (엑's 인터뷰)[종합]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엑스포츠뉴스 오승현 기자) 배우 강하늘이 '야당'을 통해 현실적이고 시원한 액션과 함께 마약 연기까지 선보인다.

8일 오전 서울 강남구의 한 카페에서 영화 '야당'(감독 황병국) 강하늘과 엑스포츠뉴스가 만났다.

'야당'은 한민국 마약판을 설계하는 브로커 ‘야당’ 이강수(강하늘 분), 더 높은 곳에 오르려는 ‘검사’ 구관희(유해진), 마약 범죄 소탕에 모든 것을 건 ‘형사’ 오상재(박해준)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엮이며 펼쳐지는 이야기를담은 범죄 액션 영화다.

강하늘은 마약 중독부터 고통스러운 재활, 후유증까지 모두 표현해 몰입감을 높인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마약 연기에 대해 "다 아쉬웠던 부분만 보였다. 조금만 다른 건 없었나 생각하면 장면이 지나가더라"고 겸손하게 답하며 "제가 마약을 잘 모른다. 그런데 요즘 유튜브 볼 게 많아서 외국 영상이나 재활 다큐멘터리를 보고 처음 마약을 접했을 때의 이야기를 들었다. 현장에서도 형사님이 자문을 오셨을 때 이야기를 들으며 섞어갔다"고 준비 과정을 전했다.

강하늘은 "제가 한 가지 믿은 부분, 조금 자신감이라도 붙은 부분이 있다면 (마약이) 증상이 모두에게 똑같다는 게 아니란 거다. 사람마다 살아온 거, 가진 거에 따라 느낌이 온다고 한다. 어느 정도는 열어두고 표현할 수 있겠다 싶었다"고 덧붙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생소한 '야당'이란 단어에 대해 "누구라도 정치 영화로 오해할 수 있다. 저도 대본 열기도 전에 '이 시국에 정치영화 괜찮나' 하기도 했다"고 너스레를 떤 강하늘은 "처음에는 대본 읽으면서 야당은 만들어낸 허구인 줄 알았다. 근데 읽다보니 너무 디테일한 거다"라며 운을 뗐다.

강하늘은 "회사 대표 친구분이 마약반 형사다. 대표님이 야당에 대해 물어봤다는데 '그걸 어떻게 알아' 하셨다더라. 그때 이게 진짜로 있는 사람들이구나 싶었다. 몰입감 있게 읽었다"고 이야기해 '야당'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야당'이라는 마약판매상과 수사기관 사이 브로커 일을 하는 이강수는 선과 악의 조절이 필요한 인물이었다고.

강하늘은 "마약 관련해서의 톤 조절은 딱히 이야기 안했다. 감독님이 그냥 두 세번 만에 오케이를 해주셨다"며 "이강수를 만들땐 이야기를 되게 많이 했다. 이강수가 선한 행동을 하는 건 아니다. 하지만 너무 악하게 그려져서 비호감이 되면 사람들이 캐릭터를 따라가고픈 마음이 없어진다"고 어려웠던 점을 이야기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어 강하늘은 "근데 야당을 정당화하는 것처럼 보이고 싶지는 않았다. 그 사이를 제일 신경 썼다. '너무 착해보이지 않아요?'하면서 다르게 연기하기도 하고, 너무 나쁜 듯한 느낌이 들면 '이건 너무 비호감 되지 않나'하며 찍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강수에 대해 "어떤 인물을 딱히 떠올리며 연기하지도 않았다. 너무 착하지 않고 그렇다고 너무 악하지 않은, 중간의 박쥐같은 캐릭터"라고 한 마디로 정리했다.

마약 중독이 됐었던 그는 극 내내 후유증을 연기해 깊은 인상을 남긴다. 강하늘은 "마약 후유증 검색을 많이해봤다. 여러가지 증상이더라. 손이나 다리를 절거나 생각이 느려지는 사람도 있다. 그런 걸 하나 넣으면 어떨까 생각을 계속 했다"며 "다리를 절면 후반부 액션을 못한다. 뭔가 크지 않으면서도 조금 사람들에게 느껴질 게 뭐가 있을까 고민하다가 말을 더듬으면 약 후유증처럼 느껴지지 않을까 했다"며 고심했던 촬영 당시를 회상해 파격적인 연기 변신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한편 '야당'은 16일 개봉한다.

사진=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오승현 기자 ohsh1113@xportsnew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엑스포츠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