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폭락장에 담보부족계좌 '1만3419개→5만4503개' 늘어
추가 하락 시 반대매매 이어질수도…빚투개미, 강제손절 위기
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종가 현황이 표시돼 있다. 2025.4.7/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신건웅 강수련 문혜원 기자 = 빚을 내 주식을 샀던 개인 투자자들이 트럼프 관세 쇼크에 '강제 손절'당할 위기에 처했다. 주가 하락으로 담보비율이 낮아지면서 '반대 매매' 공포가 커졌다.
지난 7일 코스피와 코스닥이 5% 넘게 급락하자, 담보부족계좌가 하루 사이 400% 넘게 증가했다. 마진콜(추가 증거금 요구)을 맞추지 않으면 강제매도 물량이 쏟아질 수 있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주요 10개 증권사 중 9개 증권사의 7일 기준 담보부족계좌 수는 5만 4503개다.
해당 증권사는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메리츠증권, 키움증권, 하나증권, 신한금융투자, 대신증권 등이다. KB증권은 담보부족계좌를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나 개인투자자가 증권사에 빌린 돈을 갚지 못했거나, 신용거래 후 주가가 담보 비율 아래로 떨어졌을 때는 2거래일 내 담보 비율을 다시 맞춰야 한다. 만약 담보 비율을 못 맞추면 주식을 강제로 처분하는 반대매매가 이뤄진다.
증권사 관계자는 "트럼프 리스크를 제외하면 올해 글로벌 시장이 1월, 2월, 3월에 사실 상당히 많이 오른 부분이 있기 때문에 신용융자가 늘었다"며 "갑자기 급락을 맞아서 담보부족계좌가 많이 나온 것 같다"고 말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주가 하락이 멈췄다는 점이다. 전일 코스피는 0.26%, 코스닥은 1.1% 반등에 성공했다. 주요 종목인 삼성전자(0.56%)와 SK하이닉스(2.85%) 등의 주가가 상승하며 분위기를 돌려놨다.
추가 하락이 이어지지 않는다면 반대매매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시장에서는 당분간 변동성이 이어질 수 있지만, 조심스레 바닥에 접근한 것으로 보고 있다.
keo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