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전망치 웃도는 1분기 영업익…메모리 선방 추정
D램 가격 상승 확인…美 관세 인플레이션 영향 관건
2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26회 반도체대전(SEDEX)’에서 관람객들이 SK하이닉스의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를 살펴보고 있다.2024.10.23/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주평 기자 = 삼성전자가 지난 1분기 예상을 뛰어넘는 성적표를 내놓으면서 메모리 반도체 시황 반등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최근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바닥을 찍고 상승하고 있어 불황 탈출 전망에 힘이 실린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에 대해 '품목 관세'를 예고해 낙관하긴 이르다. 관세 전쟁이 불러올 경기 침체 여파도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경기 침체로 소비가 감소하면 스마트폰과 TV, 가전 등의 수요가 줄어들게 되고 이는 반도체 수요 감소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깜짝 실적', 메모리 선방 추정…현물가 상승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005930)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0.15% 감소한 6조 6000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79조 원으로 9.8% 증가했다.
사업부별 세부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증권가에서는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갤럭시 S25의 판매 호조를 주된 요인으로 지목하면서 메모리 반도체도 예상보다 선방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현물가는 메모리 제조사들이 주요 고객사와 협상해 정하는 고정거래가격과 달리 유통 채널에서 즉시 거래되는 가격으로, 고정거래가격의 선행 지표로 여겨진다.
고정거래가격도 일부 품목은 상승했다. 고성능 PC·스마트폰 등에 들어가는 신형 제품인 DDR5(DDR5 16Gb 2Gx8)의 경우 지난달 31일 기준 4.25달러를 기록해 전월 대비 11.84% 상승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함께 메모리 3강인 미국 마이크론은 지난달 고객사들에 보낸 서신에서 "최근 시장 역학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가격을 인상한다"고 공지하기도 했다. 낸드 업체인 미국 샌디스크와 중국 YMTC 등도 가격을 인상했다.
美 상호관세·반도체 품목 관세 최대 리스크
다만 미국발 관세 전쟁으로 인해 글로벌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신중론도 제기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에 대한 품목 관세를 예고했고, 9일(현지시간)부터 부과되는 상호관세도 메모리 수요에 영향을 미친다.
일례로 대만 TSMC가 제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엔비디아의 AI 가속기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엔비디아는 증가한 수입 비용을 고객사에 전가할 가능성이 크다. 그에 따라 AI 가속기 수요가 감소하면 AI 가속기에 탑재되는 HBM 주문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연말로 갈수록 IT 수요가 좋아지고, 중국 이구환신 등 긍정적인 요인이 있다"며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구환신은 자동차와 가전제품 등 낡은 소비재를 신제품으로 교체할 때 중국 정부가 제품 가격의 약 20%를 보조금으로 지급하는 정책이다. 중국 정부는 올해부터 이구환신 지급 범위를 스마트폰·태블릿PC 등 개인용 디지털 기기로 확대했다.
jupy@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