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한덕수 국무총리가 무리하게 대통령몫의 헌법재판관을 지명한 배경에는, 파면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이란 추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 총리가 대권 도전을 노리고 무리수를 둔 것 아니냐는 의심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이문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이완규 법제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법 부장판사를 지명하면서, "여야는 물론 수 많은 분들의 의견을 듣고 숙고한 결과"라고 밝혔습니다.
즉각, 더불어민주당은 "대통령이 탄핵돼 여당은 없고, 다수당은 민주당인데, 도대체 누구 의견을 들었냐"고 따졌습니다.
민주당은 사실상 윤석열 전 대통령 뜻을 따른 거라고 강하게 의심하고 있습니다.
인사검증을 위한 신원조회 시간을 감안하면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 전부터 내정 절차가 시작됐을 거란 겁니다.
[서영교/더불어민주당 의원]
"무엇을 믿고 선출직 대통령 몫의 헌법재판관을 임명했을까요. 저는 지극히 윤석열 파면당한 전 대통령과 내통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특히, 대선까지 국정을 책임질 한 총리가, 선거를 앞두고 사실상 정치에 개입하려 한 건 아닌지 부글부글 끓는 분위기입니다.
민주당 지도부 관계자는, "한 총리가 진보진영을 자극해 자신의 탄핵을 유도하려한 게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왔다"며 "끌려가지 않기 위해 법적인 대응만 하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정치권에서는 한덕수 총리의 대망론까지 나오고 있는데, 그 진원지는 바로 국민의힘입니다.
군소후보들이 난립하면서 사실상 총동원령이 내려진 국민의힘에서 한 총리를 '관리형 대통령'으로 밀고 있다는 주장입니다.
[권성동/국민의힘 원내대표]
"한덕수 대행이 후보로서 적절하지 않느냐는 의견을 갖고 있는 의원님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을 뿐이고."
국민의힘 한 의원은 "한 총리를 밀고 있는 의원들이 10명을 훌쩍 넘는다"고 전했고, 다른 의원도 "군소후보만 난립하다보니 당 밖에서 후보를 찾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 총리는 여러차례 "안정적 국정관리가 마지막 공직으로서 소임"이라며 대선 출마 가능성을 일축해 왔지만, 정치권은 한 총리를 이미 정치판의 한 변수로 인식하고 있는 겁니다.
중립적으로 선거를 관리해야 할 총리가 자신의 공언과 달리 정치판을 또 다시 크게 뒤흔들었다는 비판을 자초한 셈입니다.
MBC뉴스 이문현 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이문현 기자(lmh@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한덕수 국무총리가 무리하게 대통령몫의 헌법재판관을 지명한 배경에는, 파면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이란 추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 총리가 대권 도전을 노리고 무리수를 둔 것 아니냐는 의심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이문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이완규 법제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법 부장판사를 지명하면서, "여야는 물론 수 많은 분들의 의견을 듣고 숙고한 결과"라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사실상 윤석열 전 대통령 뜻을 따른 거라고 강하게 의심하고 있습니다.
인사검증을 위한 신원조회 시간을 감안하면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 전부터 내정 절차가 시작됐을 거란 겁니다.
[서영교/더불어민주당 의원]
"무엇을 믿고 선출직 대통령 몫의 헌법재판관을 임명했을까요. 저는 지극히 윤석열 파면당한 전 대통령과 내통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민주당 지도부 관계자는, "한 총리가 진보진영을 자극해 자신의 탄핵을 유도하려한 게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왔다"며 "끌려가지 않기 위해 법적인 대응만 하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정치권에서는 한덕수 총리의 대망론까지 나오고 있는데, 그 진원지는 바로 국민의힘입니다.
군소후보들이 난립하면서 사실상 총동원령이 내려진 국민의힘에서 한 총리를 '관리형 대통령'으로 밀고 있다는 주장입니다.
"한덕수 대행이 후보로서 적절하지 않느냐는 의견을 갖고 있는 의원님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을 뿐이고."
국민의힘 한 의원은 "한 총리를 밀고 있는 의원들이 10명을 훌쩍 넘는다"고 전했고, 다른 의원도 "군소후보만 난립하다보니 당 밖에서 후보를 찾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 총리는 여러차례 "안정적 국정관리가 마지막 공직으로서 소임"이라며 대선 출마 가능성을 일축해 왔지만, 정치권은 한 총리를 이미 정치판의 한 변수로 인식하고 있는 겁니다.
중립적으로 선거를 관리해야 할 총리가 자신의 공언과 달리 정치판을 또 다시 크게 뒤흔들었다는 비판을 자초한 셈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이문현 기자(lmh@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