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이 현실화 되면서 차기 대통령의 집무실, 옮길지 말지, 옮긴다면 어디가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먼저, 그대로 용산 대통령실을 쓰는 안입니다.
무엇보다 옮기기엔 '시간이 없다'는 현실론에서 이런 주장이 나오고요. 윤석열 정부가 대통령실을 이전하는 데 기재부 추산 517억원이 쓰였는데, 이런 이전 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이유에섭니다.
다만, 파면된 윤석열 대통령의 상징성이 짙은만큼 옮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진영을 막론하고 나왔고, 관저와 집무실이 떨어져 있어 대통령 출퇴근길에 시민들이 불편을 겪는다는 문제가 제기되어온만큼 이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청와대, 광화문, 세종시로 옮기자는 목소리가 나오는 배경인 건데요. 70년 넘게 집무실로 사용된 청와대, 각종 시설이 갖춰져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미 2년 이상 일반에 개방된 탓에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고요. 문재인 전 대통령 대선공약이었던 '광화문 집무실' 그러니까, 정부서울청사를 이용하는 방안은 다른 부처와 협업이 용이하다는 등의 이점이 있지만 주변에 고층 건물이 많은 도심지에 위치해 있어 경호와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종시 이전에 대해선 민주당 주자들과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등이 찬성 입장을 내고 있는데요, 2004년 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수도는 서울'이라는 관습헌법을 인정한 판례가 있어서 이전을 위해선 개헌과 같은 복잡한 법적 절차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앵커리포트였습니다.
황병준 기자(joon@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먼저, 그대로 용산 대통령실을 쓰는 안입니다.
무엇보다 옮기기엔 '시간이 없다'는 현실론에서 이런 주장이 나오고요. 윤석열 정부가 대통령실을 이전하는 데 기재부 추산 517억원이 쓰였는데, 이런 이전 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이유에섭니다.
다만, 파면된 윤석열 대통령의 상징성이 짙은만큼 옮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진영을 막론하고 나왔고, 관저와 집무실이 떨어져 있어 대통령 출퇴근길에 시민들이 불편을 겪는다는 문제가 제기되어온만큼 이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청와대, 광화문, 세종시로 옮기자는 목소리가 나오는 배경인 건데요. 70년 넘게 집무실로 사용된 청와대, 각종 시설이 갖춰져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미 2년 이상 일반에 개방된 탓에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고요. 문재인 전 대통령 대선공약이었던 '광화문 집무실' 그러니까, 정부서울청사를 이용하는 방안은 다른 부처와 협업이 용이하다는 등의 이점이 있지만 주변에 고층 건물이 많은 도심지에 위치해 있어 경호와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종시 이전에 대해선 민주당 주자들과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등이 찬성 입장을 내고 있는데요, 2004년 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수도는 서울'이라는 관습헌법을 인정한 판례가 있어서 이전을 위해선 개헌과 같은 복잡한 법적 절차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황병준 기자(joon@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