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30 (수)

ADB, 올해 韓성장률 전망 2.0→1.5%…넉달만에 또 하향조정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관세 영향 미반영…내년엔 1.9% 성장 예상

연합뉴스

아시아개발은행(ADB) 한국 경제 전망 (PG)
[박은주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올해 한국 경제가 1.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넉 달 만에 전망치를 또다시 하향 조정한 것이다.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영향을 반영하지 않은 전망치여서 추가로 하향될 가능성도 있다.

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ADB는 이날 발표한 '2025년 아시아 경제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를 1.5%로 제시했다.

ADB는 지난해 9월까지 올해 성장률 전망을 2.3%로 유지하다가 12월 0.3%포인트(p) 낮춘 2.0%를 제시한 뒤 이번에 0.5%p를 더 내렸다.

ADB는 고금리, 가계부채, 정치적 불확실성 등에 기인한 민간소비 약화와 건설업 부진을 한국의 내부적인 하방 요인으로 꼽았다.

미국·중국과의 수출 경쟁 심화, 무역 불확실성 등은 대외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ADB는 인공지능(AI) 관련 반도체 수출 호조, 정부지출 증가, 정치 안정, 확장적 통화정책 효과 등에 따라 올해 하반기에는 한국의 성장세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내년 성장률은 1.9%로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같은 전망에는 이달 2일 발표된 미국의 상호관세 영향은 반영되지 않았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이 더욱 격화하며 세계 경제가 침체로 접어들고, 미국이 한국에 부과키로 한 관세율(25%) 협상이 지지부진해진다면 6∼7월에 발표할 보충전망 때 추가 하향될 가능성도 있다.

반대로 지난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인용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역시 전망에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연합뉴스

ADB는 국제유가 하락, 식료품·에너지 가격 안정세 등에 따라 한국의 올해 물가상승률을 1.9%로 전망했다. 지난해 12월 전망 대비 0.1%p 내렸다. 내년 물가상승률 역시 1.9%로 예상했다.

ADB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지난해 12월 대비 0.1%p 올린 4.9%로 내다봤다. 내년 전망은 4.7%로 제시했다.

미국의 관세조치와 무역 불확실성 확대, 중국의 부동산 부진 등이 성장세의 발목을 잡겠지만, 반도체 수요가 수출을 견인하고 물가 안정과 관광 회복이 수요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 국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중국 4.7%, 대만 3.3%, 인도 6.7%, 싱가포르 2.6%, 베트남 6.6%로 제시했다.

ADB는 올해 아태지역 물가상승률을 지난해 12월 대비 0.3%p 하향한 2.3%로 예측했다. 내년은 2.2%로 예상했다.

국제 유가와 원자재 가격 하락, 중국의 저물가 기조 등이 물가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봤다.

2vs2@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