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량제봉투에 넣으면 안 되는 것 파봉해 구분
"노인들이 포상금 노리고 한다"는 소문, 오해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한 시민이 계산을 마친 물품을 종량제 봉투에 담고 있다. (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9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온라인을 중심으로 ‘요즘 난리 난 종량제봉투 파파라치 상황’이라는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 A씨는 “토마토 꼭지 일반쓰레기로 버렸다고 10만원, 닭뼈에 살 남았다고 10만원, 고무장갑 일반쓰레기 버렸다고 10만원, 이거 진짜 우리나라 이야기 맞냐? 택배송장 뒤져서 기어이 과태료 먹인다며?”라고 적힌 글의 캡처 화면을 첨부했다.
이어 A씨는 종이 도시락을 먹고 헹구지 않은 채 버려 과태료를 부과받았다는 B씨의 게시물도 함께 공유했다.
이어 “오염된 건 분리수거 안 하고 일반쓰레기로 분류한다고 해서 그냥 버렸더니 버리는 쓰레기도 퐁퐁으로 헹궈 버리라고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주말에 특히나 더 많이들 돌아다니실 거다. 다들 조심해라”며 글을 마무리했다.
(사진=SNS 캡처) |
영통구청 환경위생과는 매경닷컴과 통화에서 “쓰레기 파봉은 무단투기, 혼합배출 대상“이라며 ”(온라인 글 작성자는) 버린 쓰레기가 종량제 봉투에 담겨 있지 않았거나 봉투 외관상 음식물을 제대로 안 버린 것 같다”고 했다.
이어 구청에서 무단투기 단속원들로 어르신들을 고용하고 있고 이들은 포상금이 아닌 임금을 받고 일하시는 직원이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또 다른 글 작성자는 “최근 수도권에서 종량제 파파라치가 돈이 되는 걸 알고 종량제 봉투를 뒤지고 다닌다는 기사나 뉴스를 봤을 거다. 내가 사는 동네에서도 종량제 봉투를 뒤지고 다니는 중년과 노인을 목격했다”고 썼다.
그러면서 “이들이 작업하는 방식은 종량제 봉투를 무작정 뒤져서 주소나 성명, 폰 번호가 적힌 영수증이나 택배 송장이 나오면 해당 봉투에 더러운 쓰레기를 넣는 등의 자작극을 벌여 신고를 하고 포상금을 타가는 듯”이라며 “영수증이랑 택배 송장 버릴 때 조심하자”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