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김동연, 美 미시간주지사와 '트럼프 관세전쟁 동맹' 맺는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3대 완성차 소재지 미시간, 관세장벽에 타격

金 현지서 휘트머 주지사 만나 양 지역 협력 체계 구축

"우리 기업 각자도생 정글에 방치하지 않겠다"

[수원=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9일 2박4일간 짧은 미국 출장길에 올랐다.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에 맞설 ‘경기도-미시간주 동맹’을 맺기 위해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9일 미국 트럼프 발 관세 전쟁 대응책을 찾기 위해 미국으로 출국하기 전 가진 ‘자동차 부품 관세 대응을 위한 긴급 출국 보고 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에서 연 출국 보고에서 김동연 지사는 “지난주, 평택항에서 자동차 산업 기업인들을 만났다. ‘발등에 불이 떨어졌는데 정부 대책은 전무했다’ ‘정부의 무대책 속에, 앉아서 막대한 관세 폭탄을 맞게 됐다’ ‘이대로 수백억 관세를 지출하면 도산하는 수밖에 없다’라는 호소가 아닌 절규를 들었다”면서 “공직자, 정치인의 한 사람으로서 깊은 책임감을 느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대로 허송세월할 수는 없다. 어떻게든 이 충격파를 막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는 미시간에서 민-관, 국경을 뛰어넘은 관세 대응 공동 전략을 마련하고 오겠다”고 이번 출장 배경을 설명했다.

김 지사의 출장지인 미시간주는 지역 경제의 20%를 자동차 산업이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빅3’ 완성차 기업, 제너럴모터스(GM), 포드, 스텔란티스의 본사가 위치한 곳이기도 하다. 한국 부품업체 상당수도 이 미국의 빅3 자동차기업에 납품하고 있다.

김동연 지사는 “미시간 역시 트럼프 관세 충격파로 지역 경제와 일자리, 산업 생태계 전체가 흔들리고 있다”며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시간주가 트럼프 무역 전쟁의 ‘첫 희생양’이 되고 있다고까지 표현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지금은 이 트럼프발 관세 전쟁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모든 역량과 네트워크를 총동원해야 한다”라며 “이번에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지사를 직접 만나 경기도-미시간주, 한-미 양국 자동차 산업의 상생을 위한 강력한 협력 거버넌스를 만들고 오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와 휘트머 주지사는 재작년 미시간, 작년에는 경기 수원에서 두 차례 만나며 교류를 다진 바 있다.

김동연 지사는 “미시간 주정부뿐만 아니라, 현지 한국 부품 기업들과도 관세 전쟁에 공동으로 대응하겠다. 우리 기업들을 각자도생의 정글에 방치하지 않겠다”라고 약속했다.

그는 또 “계엄과 내란이 우리 민생과 경제에 남긴 상처가 너무 크다. 지금 대처하지 않으면 다시는 회복하기 어려울지도 모른다”면서 “지금 정치가 해야 할 일은 국민의 먹고 사는 삶을 책임지는 것, 무너진 민생과 경제를 회복하는 것이다. 제가 가진 모든 역량과 경험을 쏟아붓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