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계 미국인 우주비행사 조니 김 [NASA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나은정 기자] 8일(현지시간)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한 첫 한국계 나사(항공우주국·NASA) 우주비행사 조니 김(41)의 눈부신 이력이 미국에서 다시 화제가 되고 있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네이비실(해군특전단), 하버드대 의사, 나사 우주비행사. 엄마에게 이 과잉성취자(Overachiever)에 대해 말하지 말라’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조니 김을 집중 조명했다.
WSJ은 “조니 김은 인생의 절반 정도 시기에 아메리칸드림을 3차례나 이뤘다”며 “그가 41세에 이룬 업적이 세계적인 영감의 원천이 됐지만, 그의 이력서를 슬쩍 보면 한편으로는 자신과의 비교로 많은 사람에게 당혹감과 걱정을 불러일으켰다”고 전했다.
AP통신도 이날 조니 김의 ISS 승선 소식을 주요 기사로 전하면서 그를 해군 소령이자 해군 조종사, 비행 군의관이라고 소개했다.
조니 김의 ‘초고스펙’은 미국에서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그가 나사의 달 유인 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임무에 지원해 2020년 초 1600대 1이 넘는 경쟁률을 뚫고 후보군 11명에 선발되면서 ‘엄친아’(엄마친구아들)로 회자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 7일(현지시간) 한국계 미국인 우주비행사 조니 김에 대해 집중 조명했다. [WSJ 홈페이지 캡처] |
대만계 미국인 소설가 웨슬리 추는 2021년 이러한 그의 이력을 두고 “내 최악의 악몽은 조니 엄마와 우리 엄마가 친구인 상황일 것”이라고 X(옛 트위터)에 밝히기도 했다. 나사의 온라인 게시물이나 그의 인생을 다룬 SNS 게시물에도 “우리 부모님이 이 남자를 몰랐으면 한다”, “같은 아시아인으로서 내 부모님이 이 글을 읽지 않길 바란다”, “나의 롤모델”이라는 등의 댓글이 잇달았다.
그러나 조니 김의 특별한 이력 뒤에는 반전이라고 할 만한 불우했던 어린시절이 있다. WSJ은 그가 이렇게 평생에도 달성하기 어려운 3가지 업적을 처음부터 목표로 한 것은 아니었다면서 과거 팟캐스트 인터뷰 내용 등을 토대로 그가 자라온 과정을 세세히 소개했다.
1984년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의 한국인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2020년 네이비실 출신 퇴역 군인이자 작가 조코 윌링크가 진행하는 팟캐스트에 출연해 어린 시절 알코올중독이 있던 아버지의 폭력과 학대에 시달렸다고 고백했다. 그런 배경 탓에 사랑하는 사람들(어머니와 동생)을 지켜줄 수 있는 강한 사람이 되기 위해 네이비실 입대를 꿈꾸게 됐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당신은 나쁜 카드들을 갖고 태어날 수 있지만, 그 모든 것을 계속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 당신은 선택할 수 있고 자신의 운명과 자신의 길을 개척할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다”는 굳센 태도를 견지했다.
이후에도 그는 “나는 원래 의사나 우주비행사가 되려는 열망이 없었다. 지금까지도 내게 정말 중요한 것은 하나의 목표를 갖는 것이다. 왜냐하면 지금 하는 일에 올인해야 하기 때문”이라며 “당신이 지금 하는 일에 진짜가 돼야지, 사회적 지위를 올리거나 직업적인 사다리를 가지려고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를 우주비행사의 길로 인도한 패러진스키는 조니 김을 “그는 정말 초인적인 사람이고, 세상에서 가장 흥미로운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