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자동차업계, 이익 증대 기대 속 예의주시
우려 커지는 반도체·배터리·철강·바이오업계
미국발 글로벌 '관세전쟁'에 '고환율'까지 겹치면서 국내 산업계가 기로에 서 있다. 지난달 초 부산 남구 감만부두에서 수출입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작업이 진행되는 모습.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팩트ㅣ허주열·최의종·황지향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도하는 '상호관세' 효력이 9일부터 발효되는 가운데 환율까지 급등하면서 국내 산업계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고환율이 지속될 경우 일부 산업은 수출 확대와 매출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원자재 비용 상승 등에 따른 수익성이 하락하는 업종도 있어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
9일 전 거래일보다 10.8원 오른 1484원으로 출발한 원·달러 환율은 1480원 안팎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주간 거래 개시 초기에는 1486원까지 오르면서 장중 기준 금융위기 때인 2009년 3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
고환율 지속으로 인한 영향은 산업군별로 다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올해 초 주요 업종별 협회 12곳과 함께 '고환율 기조가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기상도로 표현한 결과를 보면 △조선 △자동차 △기계 산업은 '대체로 맑음' △바이오 △반도체 △배터리 △철강 △석유화학 △정유 △디스플레이 △섬유패션 △식품산업은 '흐림'으로 나타났다.
다만 조선사별로 환헤지 비중이 다르고, 고환율로 인해 해외기자재 사용률과 라이선스 비용 상승으로 환율 상승 효과가 제한되는 경우도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고환율 때 조선업은 수혜 종목으로 주목을 받지만, 실제로는 환헤지를 하기 때문에 영향이 제한적"이라며 "조선사마다 환헤지 비중이 다른데, 기본적으로 고환율 기간 동안 계약을 해야 환율 이익을 볼 수 있는데 지금은 그런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 전용 부두에 완성차들이 선적을 기다리는 모습. /현대자동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계산업은 수출 위주의 산업구조, 수입 원자재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는 특성에 따라 환율 상승에 따른 이익이 기대된다. 단기적으로 이들 산업군은 이득이 예상되지만, 고환율이 장기화될 경우 원가 상승에 따른 판매가 상향, 수요 시장 위축, 물류비 상승 등의 역풍을 맞을 가능성도 있다.
반면 가뜩이나 캐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배터리산업은 제조에 필요한 원자재인 리튬, 코발트, 니켈 등이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되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수출한 배터리에 대한 환차익 이익은 기대할 수 있지만, 상승한 원가를 고스란히 배터리 가격에 반영하기도 어려운 업황이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원화 약세가 수출 단가에 긍정적인 면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소재나 원자재의 수입 비용이 올라가고 해외 투자 비용도 증가하게 된다"며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내부적으로 영향을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철강업 역시 원자재 대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하므로 고환율로 인해 제조 원가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가격이 민감한 철강 제품은 글로벌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철강 시황이 안 좋은 상황에서 관세로 인한 무역 장벽에 고환율까지 겹치면서 피해가 크다"며 "고환율로 수입 원가 부담이 커지는데, 수출 쪽은 막혀 있어 업계의 고민이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제약·바이오산업도 원료의약품 수입 의존도가 높고 해외 임상시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고환율에 따른 비용 부담이 커진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수출을 주도하는 바이오시밀러, 위탁개발생산 업체의 수출분에 대해선 환율 효과가 있기도 하지만 국내 기업들 대부분은 원료의약품 및 소재부품장비 수입 의존도가 높아 수입 원가가 상승하고, 해외 임상비용 상승 등 R&D 투자 비용이 증가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항공업계도 악재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환율이 오르면 유류비, 리스비, 이자 등 달러로 지출하는 비용이 많아 비용 부담이 커지고, 여행 심리 위축으로도 이어지기 때문에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입 통화 다변화나 파생상품 등을 활용해 위험 관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sense83@tf.co.kr
bell@tf.co.kr
hyang@tf.co.kr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