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그래도 꾸준한 프랜차이즈…재작년 매출액 소상공인 1.75배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맹점 3.5억·전체 소상공인 2억원…브랜드 수는 조사 이래 첫 감소

공정위 2024년 가맹사업 현황 발표

연합뉴스

공정거래위원회 전경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2023년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전년대비 3.9% 증가하면서 전체 소상공인과의 격차를 더 벌린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경영 여건 악화의 영향으로 가맹 브랜드의 수는 조사 시작 이래 처음으로 감소했으며, 가맹점수 증가율도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9일 지난해 말 등록된 정보공개서를 분석한 '2024년 가맹사업 분석 현황'을 발표했다.

◇ 가맹산업 외적 둔화…본부·가맹점 수 모두 증가율 감소

가맹본부의 수(이하 지난해 말 기준)는 8천802개로 전년대비 0.5% 늘었다. 가맹점 수(이하 2023년 말 기준)는 36만5천14개로 3.4% 증가했다.

직전 연도 증가율이 각각 7.0%·5.2%라는 점을 고려하면 확장세가 둔화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가맹 브랜드 수(이하 지난해 말 기준)는 1만2천377개로 전년보다 0.4% 줄었다. 공정위가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3년 이후 첫 감소다.

공정위는 가맹사업의 외형상 둔화는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내수경기 회복 지연과 자영업 경영여건 악화 탓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브랜드 수 감소는 가맹사업을 시작하려면 직영점을 반드시 개업해야 하는 제도(이른바 1+1)가 시작되기 직전인 2021년 11월 이전에 이 의무를 피해 일단 등록하고 본 브랜드가 대거 등록을 취소한 영향도 나타난 것으로 공정위는 분석했다.

전체 브랜드 가운데 대규모 브랜드(가맹점 100개 이상)의 비중은 4.0%, 중규모 브랜드(가맹점 10개~99개)의 비중은 23.3%, 소규모 브랜드(가맹점 10개 미만)의 비중은 72.7%였다.

연합뉴스

[공정위 제공. DB 및 재판매 금지]


◇ 매출액 증가 속 제과제빵 업종만 34.0% 감소

2023년 말 기준 가맹점의 평균 매출액은 3억5천만원으로 전년(3억4천만원) 대비 3.9%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중소벤처기업부 조사에 따르면 2023년 소상공인 연간 평균 매출액은 전년(2억3천만원)보다 14.9% 감소한 2억원이었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전체 소상공인 평균의 1.75배 수준으로, 그 격차도 더욱 벌렸다. 공정위는 "가맹산업이 영세 자영업자의 안정적 매출 확보 통로 역할을 비교적 잘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업종별 전년 대비 평균 매출액 증가율을 보면 서비스(1억8천600만원)가 4.6%로 가장 컸다. 이어 도소매(5억6천만원·3.5%), 외식(3억2천300만원·3.0%)이 뒤를 이었다.

전반적인 성장세 속에서 제과제빵 업종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전년보다 34.0%나 감소해 눈길을 끌었다.

공정위는 정보공개서 등에 나타난 자료만으로는 감소 이유를 뚜렷하게 설명할 수는 없다고 봤다.

다만 최근 개성 있는 메뉴를 지역 특성에 맞게 소규모로 제공하는 개인빵집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업종별 평균매출액 1위 가맹본부는 교촌치킨(치킨), 소플러스(한식), 투썸플레이스(커피), 뚜레쥬르(제과제빵), 노모어피자(피자), U2M(교과 교육), 차홍룸(이미용), 크린토피아(세탁), GS25(편의점), 이니스프리(화장품), 정관장(건강식품) 등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빵집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공정위 "가맹점주 경영 부담 완화 시책 중점 추진"

업종별 세부 현황을 보면 외식업은 한식업종의 가맹점 수가 4만1천353개로 22.9%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치킨(2만9천711개, 16.4%), 커피(2만7천974개, 15.5%), 주점(9천591개, 5.3%), 제과제빵(8천842개, 4.9%)이 뒤를 이었다.

외식 세부 업종 가맹점 수 1위는 BHC(치킨), 본죽&비빔밥(한식), 이디야커피(커피), 파리바게뜨(제과제빵), 피자스쿨(피자)이 차지했다.

외식업종의 개점률은 21.5%로 전년(22.4%) 대비 소폭 감소했다. 폐점률은 14.9%로 전년(14.5%)보다 다소 늘었다.

서비스업 가맹점 수는 외국어교육이 1만5천991개로 14.0%를 차지해 가장 비중이 컸다. 운송(1만3천214개, 11.5%), 교과교육(1만171개, 8.9%), 이미용(5천252개, 4.6%) 등이 뒤를 이었다.

서비스업 세부업종 가맹점 수 1위는 SMART HB MATH(교과 교육), 뮤엠영어(외국어 교육), 리안(이미용), 크린토피아(세탁), 우버택시(운송) 등이었다.

서비스업종의 개점률은 23.4%로 전년(20.3%)보다 늘었고, 폐점률은 8.7%로 전년(12.7%)보다 줄었다.

도소매업종 가맹점 수는 5만5천711개인 편의점이 전체의 80.1%로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했다. 화장품(1천71개, 1.5%), 건강식품(943개, 1.4%) 등도 있었다.

이 업종 세부 가맹점 수 1위는 CU(편의점), 아리따움(화장품), 정관장(건강식품) 등이었다.

도소매업종의 개점률은 12.2%로 전년 대비 2.0%포인트(p) 감소했고, 폐점률은 8.2%로 0.1%p 감소했다.

공정위는 "올해 내수회복이 지연되고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필수품목 제도개선 사항 등 가맹점주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한 시책의 현장 안착과 정보공개서 공시제 등 제도개선에 역점을 둘 계획"이라고 말했다.

2vs2@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