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수)

[이슈플러스] 트럼프 '관세 폭탄', 스마트폰 시장 침체 우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삼성전자 갤럭시 S25 광고가 걸려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주요 제조사인 삼성전자와 애플 모두 관세 영향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상호 관세가 완제품은 물론 부품에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되면서 가격인상 압력과 소비 위축, 생산지 재편 논란까지 맞물렸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전반에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삼성전자 작년 스마트폰 출하량은 약 2억 2290만대다. 이 중 50%는 베트남, 30%는 인도, 나머지 20%는 한국·브라질·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생산된다. 베트남산에 46% 관세가 부과되면, 삼성전자 역시 가격 인상 압력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애플의 타격은 더 극심하다. 작년 아이폰 출하량은 약 2억 2590만대로, 이 중 90% 이상이 중국에서 조립된다. 미국이 중국산 스마트폰에 104%의 고율 관세를 적용할 경우, 애플 역시 상당한 부담을 지게 된다.

완제품 생산지뿐만 아니라 원자재 조달 국가에 따라 적용되는 관세율이 다르다. 베트남산 부품은 46%, 한국산 부품은 25%의 관세가 매겨지는 식이다. 단순히 '어디서 만들었는지'보다 부품 제조국까지 따져야해 기업 입장에선 대응책 마련이 쉽지 않다. 애플의 경우 부품 공급망이 한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 국가에 집중돼 있어 부품 단위로도 관세 리스크가 존재한다. 통신 장비 제조사 한 관계자는 “관세 부담을 누가, 얼마나 떠안느냐가 핵심”이라며 “가격을 높여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엔 기업이 중간이윤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트럼프 發 관세 폭탄···스마트폰 시장 침체기 야기

아이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업계는 이번 상호 관세 조치가 세계 스마트폰 시장 침체기를 불러올 수 있다고 우려한다. 삼성전자와 애플이 관세 부담을 미국 판매가에만 반영하지 않고, 전 세계 시장 가격에 반영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가격이 오르면 세계 스마트폰 소비 심리가 굳고,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길어질 수 있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상호 관세 정책이 유지될 경우 올해 세계 스마트글로벌 스마트폰 생산량은 전년 대비 최대 5%까지 떨어질 전망이다.

이종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제품 1% 가격 증가시 수요는 0.2%~3.8%까지 다양하게 감소할 수 있다”며 “고가 플래그십들은 가격 탄력성이 낮고, 저가 브랜드는 가격 탄력성이 높을 것이다. 공통적으로 관세 인상이 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엔 변함이 없다”고 분석했다.

미국 JP모건체이스의 분석가들은 애플이 미국 관세 부담을 상쇄하기 위해 세계에서 아이폰 가격을 6%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스위스 최대 은행 UBS 분석가들은 상호 관세 발효 시 아이폰16 프로맥스의 미국 가격이 최대 350달러(약 51만원)오를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가격 인상이 전 세계적으로 이뤄질 경우 삼성전자와 애플 타격도 불가피하다. 특히 저가형과 보급형 모델을 취급하는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최악의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가격 인상에 고가 모델과 저가 모델의 경계가 모호해진다는 이유에서다.

스마트폰 제조사 한 관계자는 “전반적인 스마트폰 가격 상승은 소비자들을 '가성비(가격대비성능)' 제품으로 이끌 가능성이 높다”면서 “최근 미국 소비자들 고물가와 고용 불안으로 인해 합리적 소비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고가 모델의 가격이 오르면, 자연스럽게 중저가 모델로 수요가 쏠릴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공장 이전 사실상 불가능…정부 컨트롤 타워 필요

카운터포인트 닐 샤 부사장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해외에서 생산하는 것이 너무 비싸게 만들면 스마트폰 주문자생산방식(OEM)들이 결국 미국으로 이전할 것'이라는 논리가 있었을 수 있다”면서 “그러나 이는 막대한 보조금과 저렴하고 숙련된 노동력 없이는 절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미국에서 제조하는 것은 비용 측면에서 전혀 이점이 없다”라고 단언했다.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트럼프 2기 행정부 바람대로 생산기지를 미국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작다고 본 것이다.

실제 삼성전자, 애플, 모토로라 등 주요 스마트폰 기업들은 오랫동안 생산 제품 품질 고도화에 나서왔다. 높은 품질의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투자도 집행했다. 만약 미국으로 공장을 옮길 경우 숙련된 노동력을 포기해야 하는 셈이다. 또 미국으로 이전하더라도 공장 설립과 생산까지 수년이 걸린다. 카운터포인트는 “대규모 정부 보조금과 24시간 이용할 수 있는 숙련된 노동력 없이는 하루아침에 제조를 미국으로 이전할 수 없다”며 “그것이 가능하더라도 차익 거래가 부족해 스마트폰 가격이 급등할 것”이라 분석했다.

업계는 기업이 별도 마련하는 대응책보다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단계라고 입을 모은다. 세부적인 대응 전략은 기업이 만들 수밖에 없지만 큰 틀에서의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국내 한 중견기업 대표는 “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며 “각 정당이 선거 대책이 아니라 '통상 교섭 TF'를 만들어야 할 정도라 본다. 기업들은 지금 생존을 걸고 동분서주하고 있는데, 정부가 우산이 되어주길 바라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정부가 통상교섭에 나서고, 수입 규모를 조절해 무역수지를 맞추는 등 큰 틀은 정부가 맡아야 한다”며 “기업은 구매자와 협상하거나 대체 조달 방안을 찾는 등의 개별 대응을 할 수밖에 없다. 이 모든 것의 전제가 결국 정부의 빠른 대응이다. 산업계의 협상 여지도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궁경 기자 nkk@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자신문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