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발효 이어 반도체 품목관세 예고…美 인플레이션 우려
트렌드포스, AI 서버 등 올해 성장률 하향…HBM 직격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린 공화당 전국 의회 위원회(NRCC) 행사에 참석해 “관세로 제약회사들이 미국 내로 생산 시설을 이전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2025.04.09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주평 기자 = 미국이 각국에 부과한 상호관세가 9일(현지시간)부터 발효되면서 미국의 인플레이션에 따른 반도체 수요 위축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급증하던 미국 중심의 AI 데이터센터 서버 수요가 꺾이면서 삼성전자(005930), SK하이닉스(000660)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성능 메모리 수익성이 악화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최악의 경우 AI서버 성장률은 10%포인트(p) 이상 떨어지고 스마트폰은 역성장할 것이란 전망이다.
미국은 이날 86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상호관세를 전면 발효한 뒤 각국과 개별 협상에 나선다. 트럼프 행정부는 동맹인 한국·일본을 협상 최우선 순위에 두겠다고 밝히고, 보복관세를 예고한 중국에는 상호관세를 34%에서 84%로 인상, 누적 104%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중국을 비롯해 베트남 46%, 태국 36%, 인도 26% 등 글로벌 생산기지가 밀집한 국가들에 고율의 상호관세가 부과되면서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의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커졌다. 반도체는 상호관세에서 제외됐지만 철강처럼 품목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미국 상호관세 부과에 따라 AI 서버, 서버,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올해 출하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조정된 성장률 전망치는 △AI 서버 28.3% → 24.5% 또는 18.0% △서버 6.9% → 5.4% 또는 2.0% △스마트폰 1.5% → 0.0% 또는 마이너스(-) 5.0% △노트북 5.0% → 3.0% 또는 2.0% 등이다.
특히 AI 서버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메타, 아마존 등 빅테크의 대규모 AI 데이터센터가 미국에 몰려 있어 성장률 전망치의 하락 폭이 컸다.
AI 서버에 들어가는 AI 가속기에는 SK하이닉스, 삼성전자의 HBM이 필수로 탑재된다. AI 서버 수요가 위축되면 국내 업체들의 HBM 공급도 둔화할 수 있다.
HBM 공급단가 인하·내년도 물량 축소 가능성
메모리 수요 감소뿐 아니라 수익성 악화 우려도 있다. 서버, 스마트폰, PC 등 세트 업체들이 관세로 인해 증가한 비용 부담을 상쇄하고 최종 소비자 가격 인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품 공급사에 단가 인하 압력을 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 등은 올해 HBM 물량이 모두 계약됐다고 밝혔지만, 고객사가 계약 내용을 변경해 단가를 낮추려 하거나 현재 협상 중인 내년도 물량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부품 산업은 거시경제와 전방 산업이 중요한데, 최근 전망처럼 악화하면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워낙 혼란스러운 상황이라 정확히 진단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jupy@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