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일본, 한국 정상과 잇달아 통화했습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가까운 동맹을 우선시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동맹에 대한 우대만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한미희 기자입니다.
[ 기자 ]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상호관세 발효를 하루 앞두고 세계 각국의 협상 요청이 쏟아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가장 가까운 동맹이자 무역 상대국인 일본과 한국을 분명히 우선시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일본과 한 대화를 두고 "미국 노동자와 농민을 위해 매우 긍정적이었다"며 "많은 양보가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백악관 대변인도 협상에서 동맹과 파트너를 우선시할 것이라고 재확인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한국과 일본이 동맹이기 때문에 먼저 협상할 기회를 준다는 배려의 뜻으로만 읽히지는 않습니다.
<캐럴라인 레빗 / 백악관 대변인 (현지시간 8일)> "대통령의 메시지는 처음부터 간단하고 일관적이었습니다. 전 세계 국가들이 최고의 제안을 가져오면 듣겠단 겁니다. 미국 노동자에게 이익이 되고 미국의 심각한 무역적자를 해소할 수 있는 거래만이 성사될 겁니다."
해싯 위원장 역시 "수년간 미국에 엄청난 무역적자를 안긴 교역 파트너들에 집중하고 있다"고 언급한 만큼, 무역 적자를 빨리 줄이려면 미국을 상대로 흑자를 보고 있는 한국과 일본을 우선 상대해야 한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에 막대한 적자를 안긴 동맹이자 교역국인 멕시코와 캐나다를 상대로 가장 먼저 관세를 부과한 뒤 협상해 왔습니다.
유럽연합은 회원국이 많아 개별 협상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는 데다,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를 검토해 온 점도 고려한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 규모가 크고 맞대응에 나선 중국은 쉽게 굴복시킬 수 없다고 보고마지막에 총력을 다해 상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를 위해 상대적으로 손쉬운 한국과 일본에 양보를 얻어내 협상의 성과로 홍보하며 나머지 국가에 본보기로 내세우려 한다는 관측도 제기됩니다.
연합뉴스 한미희입니다.
#트럼프 #상호관세 #동맹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한미희(mihee@yna.co.kr)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일본, 한국 정상과 잇달아 통화했습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가까운 동맹을 우선시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동맹에 대한 우대만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한미희 기자입니다.
[ 기자 ]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상호관세 발효를 하루 앞두고 세계 각국의 협상 요청이 쏟아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일본과 한 대화를 두고 "미국 노동자와 농민을 위해 매우 긍정적이었다"며 "많은 양보가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백악관 대변인도 협상에서 동맹과 파트너를 우선시할 것이라고 재확인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한국과 일본이 동맹이기 때문에 먼저 협상할 기회를 준다는 배려의 뜻으로만 읽히지는 않습니다.
해싯 위원장 역시 "수년간 미국에 엄청난 무역적자를 안긴 교역 파트너들에 집중하고 있다"고 언급한 만큼, 무역 적자를 빨리 줄이려면 미국을 상대로 흑자를 보고 있는 한국과 일본을 우선 상대해야 한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에 막대한 적자를 안긴 동맹이자 교역국인 멕시코와 캐나다를 상대로 가장 먼저 관세를 부과한 뒤 협상해 왔습니다.
유럽연합은 회원국이 많아 개별 협상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는 데다,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를 검토해 온 점도 고려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위해 상대적으로 손쉬운 한국과 일본에 양보를 얻어내 협상의 성과로 홍보하며 나머지 국가에 본보기로 내세우려 한다는 관측도 제기됩니다.
연합뉴스 한미희입니다.
#트럼프 #상호관세 #동맹
한미희(mihee@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