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미국 연방 의원 상원 청문회에서 일본과 시작할 관세 협상을 언급하며 “농산물 시장 액세스를 확대,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관세보다 나은 ‘대안’을 제시하면 ‘협상’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인 만큼 일본은 이 발언을 무게 있게 보고 있다. 지난달에도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일본을 언급하며 ‘쌀’에 대한 관세율을 문제 삼은 바 있기 때문이다. 일본엔 쌀 수입 문제는 민감한 이슈로 일본은 일정량만을 의무 수입하는 형태로 쌀 산업을 보호하고 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 8일 총리 관저로 들어가고 있다. EPA 지지통신=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교도통신은 그리어 대표의 발언에 대해 “미국산 수입품 수용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농산물이 양국 관세 협상의 초점이 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기도 했다.
전례 없는 관세 발동에 일본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지지통신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재무성과 금융청, 일본은행이 한자리에 모여 상호관세 대책을 논의했다. 전날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가 관세 협상을 위해 자신이 본부장으로 직접 지휘하는 종합대책본부를 차린 데 이어 금융 정책 담당자들이 모여 주식시장 폭락과 환율 등에 대한 협의에 나선 것이다.
도쿄=김현예 특파원 hykim@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