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비상계엄 이유로 꼽은 부정선거론, 사회갈등 낳아
노태악 "일각에서 주장하는 부정선거 발생할 수 없어"
9일 경기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입구에 제21대 대통령선거까지 남은 일수가 표시돼 있다. 2025.4.9/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소은 원태성 기자 =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부정선거 음모론이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악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대응 전담반을 신설한 것으로 9일 확인됐다.
12·3 비상계엄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치러지는 조기 대선인 만큼 엄정하고 공정한 선거가 이뤄질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한다는 취지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중앙선관위는 최근 선거종합상황실 내에 중앙선관위 직원들로 구성된 부정선거 의혹 제기 등 외부 대응 전담반을 설치했다.
전담반은 일각에서 제기되는 부정선거 의혹에 대해 사실관계를 바로잡고 정확한 선거 정보를 제공하는 업무를 맡을 예정이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2023년 10월 국정원이 선관위 전산 장비를 점검한 결과 다수 문제를 발견했고 시스템 전반을 점검하기 위해 선관위에 군 투입을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투표지 분류기를 활용해 명부를 조작했다", "중국이 중앙선관위를 해킹했다"고 억지 주장을 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헌법재판소도 윤 전 대통령 탄핵 결정문을 통해 "중앙선관위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전에 보안 취약점을 대부분 조치했으며 사전·우편 투표함 보관장소 폐쇄회로(CC)TV 영상을 24시간 공개하고 개표 과정에 수검표 제도를 도입하는 등 대책을 마련했다"며 "피청구인(윤 전 대통령)의 주장은 타당하다고 볼 수 없다"고 힘을 실었다.
부정선거 음모론을 두고 사회 갈등이 극한에 달했던 만큼, 중앙선관위는 오는 6월 치러질 조기 대선에 적극 대응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부정선거론이 확대·재생산되는 것이 선거시스템의 신뢰도를 훼손하고 국익에 저해된다고 본다.
중앙선관위, 공정선거참관단도 운영…선거 전 절차 현장 참관
이외에도 관련 학회에서 자율 구성한 공정선거참관단도 운영한다. 정치 관련 학회 주도로 구성된 참관단이 사전투표·투표·개표 등 선거 절차 현장을 참관해 부정선거 의혹을 불식시키도록 지원한다.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은 이날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발표하며 "계엄 뒤 최근까지 4개월 넘는 기간 우리나라는 진영 간 극심한 갈등이 부정선거 주장과 맞물려 큰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며 "정당·후보자가 추천한 10만 명 넘는 투개표 참관인이 모든 절차를 지켜보고 있다. 이처럼 수많은 인력이 관여하기에 일각에서 주장하는 것과 같은 부정선거는 발생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soso@news1.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