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은행들은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어려운 시기에 '기업신용 공여'라는 공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정부로부터 인센티브를 받으면서 기업대출을 늘리고, 동시에 실적개선을 도모할 수 있어서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7개국의 수입품에 부과하겠다고 한 상호관세가 한국 시각으로 이날 오후 1시 1분 공식 발효됐다. 한국의 경우 25%의 관세가 부과되며, 보복 관세로 대응한 중국에 대해선 도합 120%의 관세가 적용된다.
상호관세가 발효되기 전 이미 당국의 시계는 바쁘게 돌아갔다. 국내 수출기업들이 막대한 손실을 볼 것으로 예상돼 대책 마련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이 자리에서 김 위원장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국내외 경제 및 산업과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매우 높다"며 "이럴 때일수록 금융이 본연의 기능을 충실히 해 시장안정을 유지하고 금융중개가 차질 없이 이뤄지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금감원도 보조를 맞췄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8일 금감원 본사에서 '미국 상호관세 대응 점검 회의'를 열고 "은행들이 관세 부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원활히 자금을 지원할 수 있도록 자본 규제 관련 인센티브 부여 방안을 검토하라"고 당부했다.
업계에서는 대출에 있어 국제결제은행(BIS) 자본 규제 상 위험가중치를 낮추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수출로 영위하는 중소기업이 대출을 받는 경우에 한해서다. 은행 입장에선 위험가중자산(RWA)으로 분류되는 기업대출을 기존보다 쉽게 늘릴 길이 생긴 셈이다.
지난 6일 하나금융은 선제적으로 국내 수출기업들에게 총 6조3000억원 규모의 긴급 금융지원을 단행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어 7일엔 KB금융이 8조원, 신한금융이 10조5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 방안을 내놨으며, 8일 우리금융은 10조2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은 사기업이긴 하지만 동시에 공적인 역할도 수행하는 특수한 위치에 있다"며 "타격을 입은 중소 수출기업에 금융지원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물론 실적 제고를 위한 좋은 기회가 왔다는 분석 또한 존재한다. 기업대출을 늘림으로써 금리 인하기를 버틸 수 있다는 것이다. 통상 금리 인하기엔 순이자마진(NIM)이 감소해 실적이 후퇴하곤 한다.
그러면서 "당국이 기업대출을 늘릴 것을 지시하고 기업대출 관련 인센티브를 주겠다고 한 것은 은행들에게 기회"라며 "자산 건전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기업금융에 힘 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