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미국 상호관세 발효, 코스피 2,300선 아래로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격화 조짐을 보이면서 원/달러 환율이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1,500원 선에 바짝 다가섰습니다.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됐으나 여전한 리더십 공백 속에 대외 악재가 끊이지 않아 환율이 조만간 심리적 마지노선인 1,500원마저 돌파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옵니다.
오늘(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날보다 10.9원 오른 1,484.1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환율은 전날보다 10.8원 오른 1,484.0원으로 출발한 뒤 오전 9시 10분 1,487.5원까지 치솟았습니다.
원/엔 재정환율도 오후 1시 30분 100엔당 1,025.59원까지 올랐습니다.
오후 3시 30분 기준가는 1,020.91원으로, 2022년 3월 17일(1,022.27원)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오늘 환율 상승에는 무엇보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미국은 오늘부터 중국에 104%에 달하는 누적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애초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뒤 중국이 보복관세를 예고하자 50%를 더 매기기로 했습니다.
중국이 위안화 절하에 나설 것이라는 예상도 원화 약세 요인의 하나로 거론됩니다.
미국이 한국에 부과한 25%의 상호관세를 둘러싼 협상도 안갯속입니다.
전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며 관련 논의를 시작했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아울러 오는 11월로 예정됐던 한국의 세계국채지수(WGBI·윅비) 편입이 내년 4월로 미뤄지게 된 점도 악재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시장에서는 조만간 환율이 1,500원을 넘어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백석현 신한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미·중 합의 소식이나 대화 모드 전환 소식이 들리기 전까지는 환율 천장이 열려있다"며 "당연히 1,500원도 가능하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는 "미국과 중국이 대화 모드로 전환하는 순간 환율이 급락할 수도 있다"며 상반기 환율 범위를 1,430∼1,500원으로 제시했습니다.
이민혁 KB국민은행 연구원도 "올해 상반기까지는 글로벌 통상 환경 불확실성에 환율이 1,500원을 상회할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원은 "미·중 갈등 격화 가능성에 환율의 상방 리스크도 상당히 크다"며 환율이 1,420∼1,510원 범위에서 등락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낙원 NH농협은행 FX파생전문위원은 "우리나라 최대 교역국인 중국 경제의 부정적 영향과 제2 교역국인 미국의 우리나라 관세 부과 소식에 원화 매력도가 감소했다"며 상반기 환율을 1,420~1,515원으로 예상했습니다.
서정훈 하나은행 수석연구위원은 "2분기 초반 관세 충격이 극대화되면서 환율이 1,500원을 단기적으로 넘을 수 있다"며 "연고점을 형성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는 "관세 전쟁이 장기화하면 환율도 1,500원대를 지속하면서 뉴노멀 수준의 가격을 이어갈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