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9일 서보희 트리센티스 한국 지사장은 <디지털데일리>와 트리센티스가 함께 금융권 정보기술(IT)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한 오찬 세미나에서 “금융감독원이 2023년 11월 발표한 금융 IT 안정성 강화 가이드라인에 따라 금융회사 및 전자금융회사는 테스트 담당 조직을 구성하고 자동화 솔루션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 가이드라인은 의무가 아닌 권고사항이지만 그 중요성은 가볍지 않다. 금융사고는 특히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이런 사고를 미연에 막고자 금융감독원이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셈이다. 단 서 지사장은 “단순히 솔루션만 도입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체계적인 프로세스 구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 “복잡한 금융 IT 환경, 테스트 자동화로 안정성 확보”=금융권 IT 시스템 장애가 초래하는 비용은 막대하다. 서 지사장은 포춘 1000대 기업의 경우 시간당 약 15억원, 국내 모 금융사 실제 장애 비용은 약 16억원에 달한다고 수치를 제시했다. 이는 직접적인 거래 손해뿐 아니라 영업 기회 손실과 기업 평판 하락 등 간접적 비용까지 포함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여전히 금융권 90% 이상은 수동 테스트에 의존하거나 기존 스크립트 기반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다. 서 지사장은 “스프레드시트로 관리하거나 일관된 테스트 관리 프로세스 없이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하며 “이러한 방식으로는 빠르게 변화하는 IT 환경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디지털 면역 시스템’ 구축으로 품질 엔지니어링 혁신=아나스타시오스 키리아코풀로스 트리센티스 아시아태평양(APAC) 솔루션 아키텍트는 ‘디지털 면역 시스템(Digital Immune System, DIS)’을 제시했다. 2022년 가트너가 소개한 이 개념은 시스템 장애를 예방하기 위한 6가지 핵심 역량을 포함하며, 그중 AI 기반 테스트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키리아코풀로스 아키텍트는 “지난해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인한 전세계적 손실액이 2~3조달러에 달한다”며 “디지털 면역 시스템을 구축하면 시스템 장애 발생 시 대응 시간을 2~3시간에서 2~3분으로 단축하고, 잠재적 장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며 DIS 중요성을 언급했다.
트리센티스는 2020년부터 컴퓨터 비전 기술을 품질 엔지니어링에 도입해 왔다. 이 기술은 자동화가 어려웠던 터미널 에뮬레이터나 특정 개발 플랫폼에서도 테스트 자동화를 지원한다. 컴퓨터 비전이 갖는 가장 큰 장점은 사람처럼 화면을 이해하고, 버튼이나 텍스트 박스 위치가 변경돼도 맥락을 이해해 테스트가 자동 복구되는 ‘셀프 힐링’ 기능이다.
키리아코풀로스 아키텍트가 특히 강조한 것은 품질 인텔리전스 플랫폼 ‘씨라이트(SeaLights)’다. 이 플랫폼은 변경된 코드를 분석하고 테스트 우선순위를 판단해 에이전트들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많은 기업이 5000개 이상 테스트 사례를 보유하고 있지만, 실제 변경에 영향받는 부분만 집중적으로 테스트하면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키리아코풀로스 아키텍트는 “AI는 품질 엔지니어 일자리를 대체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AI를 활용해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일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자동화 테스트는 필수이고, 이를 빨리 수용할수록 조직 혁신 목표를 달성하고 고객에게 더 나은 품질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