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2 (화)

86세대+97세대, 친명+친문...이재명 캠프서 뛰는 사람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the300][MT리포트] 이재명의 세번째 대망④

[편집자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열리는 6.3 조기대선을 위해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대표직을 던졌다. 2017년, 2022년 대선에 이은 세 번째 도전에서 이재명은 꿈을 이룰 수 있을까. 1등 대권 주자의 과거와 현재, 그의 비전과 조력자들을 살펴봤다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2025.04.09. kch0523@newsis.com /사진=권창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3 대선 출마를 위해 당대표직을 내려놓으면서 그를 보좌할 경선 캠프 구성원들의 면면에도 관심이 쏠린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전 대표는 직전인 20대 대선 때의 '열린 캠프'와 달리 경선 캠프의 규모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물리적 규모는 줄이고, 소통 채널로 SNS(소셜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5선의 윤호중 의원이 선거대책위원장을 맡고, 강훈식(총괄본부장)·윤후덕(정책본부장)·김병기(조직본부장)·김영진(정무총괄) 의원이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인 한병도·박수현 의원의 합류도 거론된다.

계파색을 초월한 인사로, 당내 통합을 염두에 둔 캠프 구성이란 평가가 당 안팎에서 나온다. 이 전 대표와 가까운 한 의원은 "지난 대선에 비해 이 대표의 당내 외연이 확장됐다는 뜻으로도 볼 수 있다"며 "소위 친명(친이재명)으로 불리지 않는 인사도 면면을 뜯어보면 이 전 대표와 호흡을 맞춰본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윤호중 의원은 '86 세대(80년대 학번·60년대생)' 출신으로 이해찬계로 꼽힌다. 지난 대선 당시 민주당 원내대표를 지냈고, 선거 패배 이후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아 같은 해 6월 지방선거를 치렀다. 당시 이 전 대표는 총괄선거대책위원장직을 맡았다. 윤 의원은 비상계엄 국면에서 '윤석열 탄핵추진 단장'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캠프 실무를 도맡을 것으로 알려진 강훈식 의원은 중립 성향으로 당내 대표적 전략통이자, 차세대 그룹인 97세대(90년대 학번·70년대생) 간판으로 불린다. 과거 이해찬 대표 체제에서 전략기획위원장을, 지난 대선 때는 선거대책위원회 전략기획본부장을 지냈다. 윤후덕 의원은 열린캠프에서도 정책본부장을 맡았다. 김병기 의원도 지난 대선 때 이 전 대표를 도왔고, '이재명 1기 체제'에서 수석사무부총장을 지냈다.

김영진 의원은 7인회(정성호·김영진·문진석 의원, 김병욱·임종성·김남국·이규민 전 의원) 멤버이면서 중앙대 동문이기도 하다. 지난 대선 때 당 사무총장을, 지난해엔 당대표 정무조정실장을 맡는 등 중책을 맡아왔다. 일 처리가 깔끔하고, 필요할 때 레드팀을 자처 해 이 전 대표가 김 의원의 조언을 귀담아듣는다고 한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에서 정무수석을 지낸 한병도 의원은 대표적 친문(친문재인) 인사로 분류되지만, 4·10 총선 때 전략기획위원장을 지내며 이 전 대표와 호흡을 맞췄다. 당시 민주당은 헌정사 최초의 야당 과반 압승이란 성과를 거뒀다. 문재인 정부에서 첫 대변인과 마지막 국민소통수석비서관을 지낸 박수현 의원은 22대 국회 입성 후 이 전 대표의 국민소통특별보좌단장에 기용됐다.

이 전 대표를 경선부터 지원할 정책 싱크탱크인 '성장과 통합'도 다음 주 출범할 예정이다. 이 전 대표가 성남시장 후보일 때부터 정책 조언을 해 온 것으로 알려진 유종일 전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장이 수장을 맡았다. 지난해 11월 전남대의 윤석열 정부 규탄 시국선언을 주도한 허민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도 상임 공동대표로 합류했다. 이외에도 학자와 전직 관료 등 100여명이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민주당은 9일 이 전 대표가 사퇴한 뒤 중앙당선관위원회와 특별당규준비위원회를 구성하며 조기 대선 채비에 본격 나섰다.

경선 기간은 3주 정도로 잡힐 것으로 보인다. 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당헌 개정과 대선특별당규 제정 절차를 늦어도 3일 이내에 마무리할 방침이다. 이후 예비 경선이 치러지지 않으면 후보 간 토론회를 시작으로 지역 순회와 경선 투표가 열리게 된다. 민주당은 경선 기간을 최대한 압축하기 위해 순회 지역을 지난 대선(수도권·강원, 호남, 영남, 충청 등 4권역)보다 줄이거나 현장 투표 없이 온라인 투표만 실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오문영 기자 omy0722@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