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턱을 몸쪽으로 당기는 운동, 컴퓨터를 사용할 때 모니터 눈높이 맞쳐
장재원 윌스기념병원(수원) 척추센터 부병원장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3년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결과 만 3세 이상 인구의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이용률이 92.2%나 된다고 한다. 더 놀라운 점은 만 3세 이상 스마트폰 이용자의 주 평균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12.5시간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과다 사용은 스몸비족(영혼 없이 스마트폰만 멍하게 바라보고 있는 모습을 좀비에 비유), 퍼빙[전화기(Phone)+무시한다
(Snubbing)의 합성어로 함께 앉아 있는 상대보다 스마트폰에 집중하는 모습], SNS 중독이나 숏폼 중독, 팝콘브레인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척추질환을 치료하는 입장에선 스마트폰을 볼 때 주로 목을 숙이는 자세가 많아 목(경추)의 상태가 걱정된다.
경추는 전만(앞으로 만곡)을 유지하는 C자 형태를 가지고 있다. 목뼈가 C자로 되어 있어야 머리 무게를 효과적으로 분산해 목뼈에 가해지는 부담이 줄어들고, 목과 어깨에도 통증이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과다 사용을 비롯한 잘못된 생활 습관으로 인해 목뼈가 변형되어 일자 목이나 역 C자 형태가 되어 흔히 말하는 거북목이 나타날 수 있다.
목뼈는 다른 부위에 비해 작지만 머리의 무게를 지탱하며 위아래, 좌우로 회전한다. 성인의 머리 무게가 약4~6kg 정도인데 고개를 30도 숙이면 약 18kg, 45도 숙이면 약 22kg, 60도를 숙이면 약 27kg의 하중이 발생한다. 목이 20kg 이상의 무게를 지탱하려면 손상이 생길 수밖에 없다. 목뼈의 변형은 질병이 아니다. 하지만 불편을 야기한다.
평소 뒷목이 뻐근하고, 어깨가 자주 결리고 딱딱하거나 등이 굽어 있다, 옆에서 보면 어깨보다 귀가 앞으로 나와 있거나,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이 하루 8시간 이상이라면 일자목이나 거북목을 의심할 수 있다. 일자목으로 만성화된 통증은 등과 허리, 팔로 확산될 수 있어서 심하지 않은 경우라면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도수치료, 주사 치료 등으로 통증을 줄이고 자세를 교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장재원 윌스기념병원(수원) 척추센터 부병원장 (opinio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