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中에 추가 관세 50%…평균 관세율 126%까지 치솟아
중국도 보복 조치, 추가 시나리오까지 제시하며 강경 대응
미·중 협상 여지는 남겨둬, 늦어도 11월 APEC에 만날 듯
지난 2019년 6월 29일 일본 오사카에서 도널드 트럼프(왼쪽 첫번째) 당시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오른쪽 첫번째) 중국 국가주석이 회담하고 있다. (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9일(현지시간)부로 중국에 104%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두 차례에 걸쳐 부과한 보편 관세 20%와 이달 초 발표한 상호관세 34%에 이날 추가로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미국이 중국에 추가로 관세 폭탄을 날린 이유는 중국의 강경한 대응에 따른 것이다. 중국 정부는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후 곧바로 모든 미국산 제품에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며 맞대응했다.
현재까지 미국과 중국이 각각 부과한 추가 관세를 종합하면 당장 중국측 타격이 더 커 보인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의 대미 관세율은 평균 22.6%였는데 추가 관세(34%)를 더해 총 56.6%가 된다. 중국은 지난달 일부 제품에 대해 최고 15%의 추가 관세를 부여해 품목별로 최고 관세는 다르다. 석탄의 경우 79.5%, 액화천연가스(LNG)는 74%에 달하고 밀·옥수수·대두(59%) 등도 평균 관세율을 웃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 관세율) 104%가 터무니없다고 생각하겠지만 그들이 협상할 때까지 유효하다”고 엄포를 놨다. 대만의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TSMC에겐 미국에 공장을 짓지 않으면 최대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하며 우회적으로 중국을 견제했다.
아울러 중국 인민은행이 수출 타격에 대비하기 위해 위안화 고시로 달러대비 위안화를 낮춘 것을 두고 “환율을 조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대로 중국이 미국으로부터 환율조작국으로 다시 지정되면 직접적인 경제 제재를 받게 될 수도 있다.
중국은 보복 조치를 철회할 기미가 없다. 중국 정부의 뜻을 사실상 대변하는 관영 매체 중국중앙TV(CCTV)는 이날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협상의 문은 닫혀있지 않으나 결코 이런 식으로는 아니다”라면서 미국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동맹국까지 건드리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오히려 중국이 주변국과 연대할 계기가 돼 반사이익을 줄 수 있다는 분석도 계속해서 나온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4일 트럼프 대통령의 글로벌 무역전쟁이 시진핑 중국 국가석석에게 전략적 선물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미국의 관세는 중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고 있다’라는 제목의 칼럼을 통해 미국의 정책을 비판했다.
미국과 중국 모두 대화를 언급하는 만큼 극적인 협상 타격의 가능성도 남았다. WSJ는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6월 정상회담을 개최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6월 만남이 무산되더라도 11월 한국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려 늦어도 연내엔 두 정상의 만남이 성사될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