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의 25% 상호관세가 발효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한번 우리 정부에 조선과 LNG 사업 참여 등 원하는 바를 분명히 내비췄는데요.
우리 정부는 이를 지렛대로 삼아 본격적인 대미 협상을 시작했습니다.
배진솔 기자입니다.
[기자]
조선업, 미국산 LNG 대규모 구매, 알래스카 가스관 사업.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나라에 꺼내든 '쇼핑 리스트'입니다.
우리 정부는 관세율 조정을 최우선 목표로 미국과 협상할 계획인데, 우리나라가 잘하는 분야인 조선업 협력에 대해서는 정부도 적극적인 모습입니다.
<안덕근/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조선 협력에 대해서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행정부가 굉장히 큰 관심을 보이고 있어서 조선 분야가 굉장히 중요한 협상 카드가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침체된 미국 조선업 활성화를 위해 미국 군함 건조와 유지·보수·정비 분야 협력에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고 있는 한국의 알래스카 가스관 프로젝트 참여에 대해서는 조금 더 신중한 상황.
이 사업은 알래스카 북부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남부 해안으로 운송해 액화한 뒤 수출하는 사업입니다.
혹한을 뚫고 가스관을 건설해야 해 총 투자비가 440억 달러, 약 64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됩니다.
<안덕근/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알래스카 사업에 무조건 참여한다고 선언을 한 것이 아닙니다. 최대한 국익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다만 사업에 성과를 낸다면 LNG 수입선 다변화를 통한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힙니다.
실제 정부는 알래스카산 LNG 구입에 대해서는 대미 무역수지 균형을 맞추기 위한 방안으로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배진솔입니다.
#조선 #알래스카 #LNG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진솔(sincere@yna.co.kr)
미국의 25% 상호관세가 발효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한번 우리 정부에 조선과 LNG 사업 참여 등 원하는 바를 분명히 내비췄는데요.
우리 정부는 이를 지렛대로 삼아 본격적인 대미 협상을 시작했습니다.
배진솔 기자입니다.
[기자]
조선업, 미국산 LNG 대규모 구매, 알래스카 가스관 사업.
우리 정부는 관세율 조정을 최우선 목표로 미국과 협상할 계획인데, 우리나라가 잘하는 분야인 조선업 협력에 대해서는 정부도 적극적인 모습입니다.
<안덕근/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조선 협력에 대해서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행정부가 굉장히 큰 관심을 보이고 있어서 조선 분야가 굉장히 중요한 협상 카드가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침체된 미국 조선업 활성화를 위해 미국 군함 건조와 유지·보수·정비 분야 협력에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
이 사업은 알래스카 북부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남부 해안으로 운송해 액화한 뒤 수출하는 사업입니다.
혹한을 뚫고 가스관을 건설해야 해 총 투자비가 440억 달러, 약 64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됩니다.
<안덕근/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알래스카 사업에 무조건 참여한다고 선언을 한 것이 아닙니다. 최대한 국익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실제 정부는 알래스카산 LNG 구입에 대해서는 대미 무역수지 균형을 맞추기 위한 방안으로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배진솔입니다.
#조선 #알래스카 #LNG
배진솔(sincere@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